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제7

한민족의 영웅인 안중근은 장군인가? 의사인가? 이토 히로부미를 암살한 안중근 의사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과 더불어서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영웅이자 한반도의 대영웅입니다. 안중근 의사의 총알 3방에 아시아의 역사가 바뀌었다고 볼 수 있는데요. 안중근은 평화주의적 아시아주의자이기는 했으나 대한의군의 정규 군인이자 의병 지도자였습니다. 따라서 많은 역사학자들은 안중근을 장군이라 호칭해야 하는지 의사라고 호칭해야 하는지에 대해 주장이 많다고 합니다. 사실 안중근을 장군이라 불러도 되고 의사라고 불러도 되는데 어찌되었던 간에 결과적으로 일제 전체를 무력과 정신으로 맞선 독립운동가라는 것은 확실합니다. 장군으로서 받아 들어야 한다는 측의 주장 안중근의 하얼빈 의거 이후 일본 법정에서 안중근이 한 주장을 받아들여 그를 의사가 아닌 대한의군의 참모중장으로의 신분을.. 밀리터리 2017. 6. 14.
2차세계대전에서 일제가 미국을 건들여서 생겨난 결과 6가지 2차세계대전에서 일제는 미국에 선전포고도 없이 진주만을 폭격하였습니다. 이에 미국은 일제에게 선전포고를 감행했습니다. 미국의 선전포고 이후 일제와 동맹국이었던 이탈리아, 나치 독일은 미국에게 선전포고를 하게 되면서 미국이 본격적으로 2차세계대전에 참전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1. 미국의 연합국측으로의 참전 일제의 진주만 폭격으로 인한 미국 내부의 참전 여론이 거세지면서 미국의회는 결국 연합국측으로부터 2차세계대전에 참전을 하기로 결의했습니다. 일제의 진주만 폭격에 대한 목적은 미국과의 협상이었지만 결과적으로 미국이 연합국측으로 참전하면서 유럽전선과 태평양 전선에서 밀리게 되었습니다. 2. 미군의 유럽전선 투입 미국은 유럽전선에도 미군을 투입시키게 되는데 대표적으로 프랑스를 탈환하기로 한 노르망디 상륙작전이.. 밀리터리 2017. 5.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