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년! LA폭동 당시 한인사회의 문제점 3가지
1992년 미국 로스엔젤레스 에서 일어난 흑인폭동은 미국 내부의 한인사회에 큰 영향을 끼친 사건 이라고 합니다. 한인 2세대가 지켜낸 한인타운에서도 그들만 알고 있었던 문제들이 있었다고 하는데요. 그 부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92년 LA폭동 당시 한국인 조폭들은 뭘 하고
있었나?
1992년 LA폭동 당시 미국 사회에서는 한인들의 행동들에 대해 해프닝으로 끝나기에는 그냥 넘길 수 없었다고 합니다. 특히 한인타운을 자신들의 구역으로 삼고 보호비 명목으로 한인상인들을 상대로 금품을 갈취하던 한국인 조폭들이 흑인폭동이 터지자 흑인들이 들이닥치기 전에 혼란을 틈타 한인 상점의 물건을 다 털어갔던 것입니다.
1992년 LA폭동 당시 미국 로스 엔젤레스 지역으로 넘어온 한국인 조폭들은 전두환 정권의 '범죄와의 전쟁'을 피하기 위해 미국 로스엔젤레스 한인타운 지역으로 넘어온 것이었다고 하는데요. 즉, 결과적으로 92년 LA폭동 당시 한인들의 생명과 보존성을 지키기 위해 싸운 예비군 출신들이 있었지만 보호비를 받아먹고 보호를 하지 않은 채 도망간 한국인 조폭들의 문제가 있었다는 점이라고 합니다.
LA 한인타운의 피해 정도
LA폭동 이후 한인들의 피해는 전체 피해액의 절반일 정도로 금전적 피해가 엄청났다고 합니다. 특히나 한인상점이 무단으로 침입하여 고가품이나 식품 등을 강탈하고 건물까지 훼손하면서 한인사회에 커다란 휴유증을 남겼습니다.
특히 당시 18살 이었던 재일교포 이재성 군은 한인 재경단끼리 서로 폭도로 오인해서 쏜 총에 맞아 즉사했습니다. 특히 오해로 인해 총상을 입은 사람은 물론 많았지만 집단폭행을 당하거나 중상을 입은 사람도 역시 많았다고 합니다.
당시 미국의 백인사회에서는 한인들을 모범 소수민족이라고 하면서 정착 위기에는 흑인들의 공격을 방조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LA폭동 미국 로스엔젤레스 한인타운의 한인들은 두순자 사건으로 흑인 폭동의 원인을 한인이라는 것을 대대적으로 보도했다는 점으로 한인들은 중요한 인식을 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당시 이러한 미국 언론의 보도는 한인들이 미국 사회의 상황을 파악하며 정신차리게 한 결정적 이유라고 합니다.
한인들은 그들의 재기를 위해 한인타운 복구작업을 하였고 소수의 한인들은 흑인과의 평화를 원하며 거리운동을 벌이기도 하였다고 합니다. 흑인폭동 사태 이후로 한인들은 히스패닉들을 포함하여 흑인들과 결혼을 통해 좀 더 가까워지려는 시도를 했다고 합니다. 이러한 한인사회의 노력으로 인해 현재까지 미국 내 한인들과 흑인들간의 감정 갈등은 낮아진 편이라고 합니다.
미국 내 한인사회의 변화
폭동사건 이후 미국 한인사회는 두가지로 변화가 생겼다고 합니다. 특히 한인들은 미국에서 자신들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미국인으로써 권리를 얻어야만 한다는 인식이 생겨버렸다고 하는데요. LA 폭동 사태 이전에는 한인들은 한인 공동체에서만 살았고 경쟁 대상도 보통은 같은 한국인들이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미국 내 한인들의 생각으로 인해 실제로 미국 시민권을 취득하는 사람이 점 점 생겨났으며 미국 사회에서 중요한 정치가와의 교류도 생겨났다고 하는데요. 이러한 한인사회의 변화는 정치가와의 아무 교류가 없었기 때문에 흑백 양쪽에서 일방적으로 따돌림을 당했다고 생각한 것이었다고 합니다.
흑백논리로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지는 격으로 얻어맞은 한인들은 교민들의 의견을 대변해주고 권리를 지켜줄 수 있는 정치가의 존재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습니다. 결국 이러한 한인사회의 노력은 미국 정치인들이 한인들에게 관심을 기울이게 되는 결과를 만들게 되었다고 합니다.
또한 한인들은 폭동사태 이후 미국 내 한인사회를 탈피하여 많은 인종들과의 공존을 생각하기 시작했습니다. 한인사회는 미국 사회의 주류인 백인과 흑인들과의 갈등만 아니면 모든지 관심없이 생활했다고 하는데요. 미국 내 한인들은 폭동사태 이후 다른 소수민족들과 더 많은 인적 교류가 시작도 폭동사태 이후 쯤이라고 합니다.
<글쓴이 추천 글 링크>
미 육군 역사상 마지막으로 원수로 승진한 마지막 미국 장군
이 글이 재미있거나 유익하셨다면 로그인이 필요없는
아래에 있는 <공감> 버튼 한 번 눌러주세요
'밀리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국인들이 보는 한국전쟁에 대한 시각 5가지 (0) | 2017.04.24 |
---|---|
임진왜란에서 승리한 국가는 어디일까? (0) | 2017.04.24 |
북한 주민들의 해방을 위해 북한 민주화에 앞장섰던 인물 (0) | 2017.04.23 |
한반도 평화통일 시나리오 5가지 (0) | 2017.04.23 |
한국전쟁이 중국, 일본에 끼친 영향 (0) | 2017.04.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