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태종대왕2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이 고려판 '주사위는 던져졌다'인 이유 3가지 위화도 회군은 역사적으로 군사 쿠데타로 인한 고려의 말명으로 보고 있는 사건입니다. 또한 역사전문가들 역시 위화도 회군을 고려판 '주사위는 던져졌다'라고 비유하기도 하는데요. 위화도 회군이 고려판 '주사위는 던져졌다'라고 평가받는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신진사대부 세력의 등장 고려 우왕 시절에는 고려의 기존 무신정권 세력은 거희 없어졌다 시피 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삼별초의 난 이후로 무신정권보다는 최영, 이성계, 최민수 등의 무인들이 세력을 구축하고 있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원나라를 지지하는 친원파 세력은 원나라가 중국 대륙에서 원나라가 패배할 위기에 놓이자 세력이 점차 약화되면서 제거 되기 시작했는데요. 사대부들은 이성계를 지지하여 왕으로 내세우면서 무신정권 보다는 사대부를 중심으로 하는 .. 밀리터리 2018. 1. 12. 더보기 ›› 역사적으로 태종 이방원을 재평가해야 하는 이유 7가지 조선의 3대 국왕인 태종 이방원은 왕자의 난으로 국왕의 자리에 올른 것으로 한국인들은 대체적으로 알고 있는데요. 하지만 태종 이방원은 흑역사도 흑역사지만 조선의 3대 국왕으로 근대사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강력한 중앙집권국가 기틀 마련 태종 이방원은 자신의 형인 정종에게 왕위를 양위 받은 후 왕권 위주의 강력한 중앙집권국가의 기틀을 마련했습니다. 고려를 망해게 만든 사병제가 아닌 관료들이 사병을 보유할 수 없도록 제도를 만들어 조정 중심의 국가의 기틀을 마련했습니다. 아들을 위해 악인이 되었던 왕 한글을 창제하고 한민족으로부터 가장 존경을 받는 세종대왕의 아버지는 태종 이방원입니다. 세종대왕이 업적을 쌓을 수 있도록 기틀을 마련한 것이 바로 아버지 태종 이방원 인데요. 실제로 조선왕조실.. 밀리터리 2017. 5. 21.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