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이순신45

한반도에 존재했던 가장 강력한 군사조직 7개 한국의 역사에는 강력했던 군사조직들이 존재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역사의 기록을 통해 본 한국 역사에 기록되어 있는 가장 강력한 군사조직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조선 수군 연합함대 군사전문가들은 임진왜란 당시 활동했던 조선 수군 연합함대를 한민족 역사상 가장 강력했던 군사조직으로 보고 있다고 합니다. 조선 수군 연합함대는 수뇌부와 더불어 병사들의 신뢰적인 부분이 굉장이 크다고 볼 수 있는데요. 이러한 신뢰를 바탕으로 조선 수군 연합함대는 동아시아 당대 최강의 군사조직으로 평가받고 있다고 합니다. 고려의 별무반 여진전쟁 당시 여진족을 정벌할 목적으로 편성된 고려의 별무반이라는 조직은 보병 위주의 군사조직이었다고 합니다. 특히 고려의 별무반에는 이렇다할 전력은 보유하고 있지는 않았지만 척준경이라는 전설의 .. 밀리터리 2017. 12. 25.
임진왜란에서 일본이 패배할 수 밖에 없었던 10가지 이유 1592년 일본에서 가장 강력했던 다이묘인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다이묘들을 연합하여 명나라를 침공할테니 길을 빌려달라는 정명가도를 조선에게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조선 조정은 도요토미 정권에 '정명가도' 거부 의사를 밝혔고 왜군은 결국 조선을 침범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임진왜란이 발발했지만 결과적으로 일본은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망 이후 본국인 일본으로 철수하면서 전쟁은 조선이 이긴 전쟁이 되었다. 수도 한양으로의 무조건 진격 임진왜란 초기에 부산에 상륙한 왜군은 무작정 당시 조선의 국왕이었던 선조를 잡기 위해 한양으로 진격하였습니다. 하지만 선조는 왜군이 한양에 이르러 백성들을 버리고 평양으로 도망가게 되버리죠. 이 것으로 인해 왜군은 멘탈이 터졌고 한양에서 장기간 주둔하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조선군.. 밀리터리 2017. 12. 24.
해외에서 민족의 영웅 '이순신 장군'을 평가한 내용 5가지 임진왜란 당시 백성을 구한 인물로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이 지휘하는 조선 수군은 한번도 패배한 적이 없었습니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지휘하는 조선 수군이 존재하지 않았다면 역사가 바뀌었을지도 모릅니다. "이순신은 천지를 주무르는 경천위지의 재주와 나라를 바로 잡은 보천욕일의 공로가 있는 사람이다." -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 수군 도독 진린 - "이순신 그의 이름은 서구 역사가들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았았다. 하지만 그의 공적으로 보아서 위대한 해상지휘관들 중에서도 능히 맨 앞줄을 차지할 만한 이순신 제독을 낳게 한 것은 신의 섭리였다. 이순신 제독은 광범위하고 정확한 전략판단과 해군전술가로서의 특출한 기술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탁월한 지휘통솔력과 전쟁의 기본정신인 그칠 줄 모르는 공격정.. 밀리터리 2017. 12. 21.
이순신이라는 인물을 구한 진짜 '임진왜란'의 영웅 이순신 장군은 임진왜란 당시 조선을 구한 영웅으로 현재까지 많은 한국인들에게 존경받는 역사적 인물입니다. 하지만 2차 백의종군을 당한 이순신 장군을 구한 진짜 영웅이 존재한다고 하는데요. 이순신 장군을 구하면서 조선을 지킨 임진왜란의 진짜 영웅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이순신 장군은 2차 백의중군 당시 원균의 정치적 욕망과 더불어 김응서, 윤두수 형제에 의해 전시상황인데도 불구하고 직책을 빼앗기고 참수형에 당할 위기 처했다고 합니다. 대체적으로 2차백의 종군 당시 이순신을 구한 사람은 당시 영의정을 지낸 서애 류성룡이라고 알려져 있는데요.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당시 이순신을 구한 사람은 류성룡, 권율, 정탁, 이원익 등이 선조를 설득해 종군형으로 감형시킨데 성공했다고 합니다. 종군형으로 감형 된 이순신.. 밀리터리 2017. 12. 19.
'칠천량 해전' 이후 조선 수군이 거북선을 추가 건조하지 않은 이유 거북선은 현대 한국인들에게 한국 역사 상 가장 위대한 발명품 중 하나로 손꼽히는 전략 병기입니다. 이러한 위대한 발명품으로 평가받는 거북선을 이순신 장군이 '칠천량 해전' 이후 추가 건조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칠천량 해전'은 임진왜란 당시 조선측 최악의 흑역사로 평가받는 해전입니다. 또한 '칠천량 해전'으로 인해 조선 수군은 전투력을 상실하는 결과를 얻게 되는데요. '칠천량 해전' 이후 이순신 장군은 조선 조정에 의해 관직이 복원되었고 2차 백의종군 이후 복직 된 이순신 장군이 치룬 전투가 바로 '명량해전'입니다. 또한 '명량해전'에서 일본군의 우회로를 차단하면서 조선 수군은 남해안을 재장악하고 조선 수군 재건의 기반을 만들게 되는데요. 하지만 조선 수군은 백성들의 도움과 흩어진 병사들.. 밀리터리 2017. 12.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