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해전술에 대한 역사적 사례
인해전술이라는 것은 한국전쟁에서 중공군이 사용하여 한국에 알려지게 되었으며 적군보다 더 많은 수의 병력을 사용하여 적을 압도적으로 제압하는 것을 인해전술이라고 하지만 대체적으로 인해전술은 적보다 많은 병력을 투입하여 아군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인해전술에 대한 역사적 사례
한국전쟁 당시 중국지원군의 인해전술
인해전술로 유명한 군대는 중국 공산당의 중화인민해방군이다. 실제로 한국전쟁 당시 연합군 사령관 맥아더 장군이 "중공군의 인해전술에 밀렸다"라고 발언하였고 물론 한국전쟁 당시 중공군의 인해전술은 구대전법이라고 하여 보병 위주의 전법을 사용했다. 한국전쟁 당시 중공군이 인해전술이지만 다른형식의 인해전술을 사용한 것은 병사들 대부분이 중국 국공내전에 참전한 이력이 있고 베테랑 병사들이었기 때문에 가능했다라는 추측이 일부분 있다
중국 수나라 군대의 인해전술
중국 통일왕조 수나라는 고구려를 침략하기 위해 113만명을 동원하였다는 것은 대부분 알고 있는 역사 지식인데 대체적으로 수나라의 공격 루트를 살펴보면 대군을 분산시켜서 고구려의 주요 요충지를 공격하려고 했지만 고구려에서 대부분 방어에 성공하였다. 하지만 수나라가 인해전술에 성공하였다면 역사가 바뀌었을지도 모른다
수나라의 인해전술은 다음과 같다
1. 적을 각각 포위함으로써 적의 결집을 막고 분산시켜 고립시킨다
2. 아군의 분산으로 적의 관심도 분산시킬수 있다.
3. 아군의 군주를 감출 수 있다
4. 적이 분산되므로 아군은 항상 수적 우세를 점한다
몽골제국의 칭기즈 칸이 자주 사용하는 인해전술
몽골제국의 칭기즈 칸이 주로 사용하던 전술 중 하나이며 실제로 몽골군이 중동을 점령할 당시 몽골군은 인해전술을 사용했고 샤리 골골라에서 무투칸을 잃자 칭기즈 칸은 넘사벽 숫자의 병력을 이용하여 샤리 골골라 자체를 없애 버렸다
2차세계대전 당시 독소전쟁에서 소련이 사용하던 인해전술
실제로 소련은 독소전쟁 당시 초기에 인해전술로 병력을 지속적으로 전선에 투입시켰는데 소련의 인해전술은 한계가 있다는 평가가 대부분이다. 이유는 당시 독일군의 화력과 통신망 자체가 워낙 잘 구축이 되어 있었고 소련군은 독일군의 화력으로 인하여 많은 병력의 손실과 소련 내부의 숙청으로 인하여 소련 붉은군대 자체가 기능을 못하게 되었는데 이 점을 전문가들은 인해전술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따라서 소련은 인해전술을 채택했기는 했지만 병력 손실이 엄청났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은 전략이라고 판단하면 된다
<글쓴이 추천 글 링크>
이 글이 재미있고 유익하셨다면 로그인이 필요없는
아래에 있는 <공감> 버튼 한 번 눌러주세요
'밀리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이 대북압박 참여가 북한을 압박 할 수 있는 이유 5가지 (0) | 2017.04.14 |
---|---|
중국인들이 보는 김정은과 북한 당국 (0) | 2017.04.13 |
한국 남자라면 꼭 봐야할 전쟁영화 6선 (0) | 2017.04.11 |
이성계가 위화도에서 회군을 한 4가지 이유 (0) | 2017.04.11 |
중국이 북한을 보호해야만 하는 9가지 이유 (0) | 2017.04.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