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류성룡5 임진왜란에 대한 우리가 잘 모르는 숨겨진 이야기 6가지 임진왜란은 한국 역사에서도 많이 중요한 역사인데요. 역사에는 기록이 되어 있으나 현대 한국인들이 잘 모르는 내용에 대해 소개해드릴까합니다. 누르하치의 구원병 제안 류성룡이 기록한 역사 기록서에 의하면 임진왜란 말기에 청 태조 누르하치가 조선에 구원병 파견을 하겠다고 제안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조선 조정은 명나라와의 관계를 생각하여 이를 거절했다고 하는데요. 이 부분은 현대 한국인들이 잘 모르는 이야기 중 하나입니다. 광해군의 오해와 진실 광해군은 인조반정으로 인해 왕자리에서 쫓겨난 비운의 군주입니다. 하지만 광해군은 임진왜란 당시 선졸르 대신하여 조선의 통수권자로 활동했는데요. 현대에 들어 광해군이 성군이다 폭군이다라는 평가가 있다고 합니다. 임진왜란 당시를 생각해보면 광해군의 역사적 의견차이가 있는 것.. 밀리터리 2018. 2. 11. 더보기 ›› '징비록'에 기록되어 있는 이순신 장군이 사망한 진짜 이유 류성룡이 집필한 '징비록'은 후대에 임진왜란 같은 참혹한 사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작성 된 것입니다. 또한 '징비록'은 임진왜란 이후 일본, 중국에 전파되면서 가장 유명한 임진왜란에 대한 기록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징비록'이라는 정사서에 기록되어 있는 이순신 장군 사망에 대한 기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징비록'에 의하면 이순신 장군은 노량해전에서 사망한 것이 아닌 선조의 시기를 인지한 자살로 기록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징비록'의 기록에 의하면 이순신 장군의 종군 이후 선조 역시 원균의 칠천량 패배를 인지하고 자신의 실책을 인정하고 있었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선조는 자신의 실책을 인정하면서도 이순신 장군을 다시 재기시킬 생각이 없었다고 합니다. 또한 선조는 아시다시피 명량해전.. 밀리터리 2018. 1. 31. 더보기 ›› 임진왜란 발발 후 조선이 청나라의 구원병 파견 제안을 거부한 이유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했고 일본군은 탄금대 전투에서 8천의 조선군을 전멸시키면서 한양으로 북상했습니다. 한강 방어선이 뚫리자 당시 조선의 임금이었던 선조는 백성들을 버리고 피난길에 오르게 됩니다. 그리고 조선은 명나라에게 일본이 조선을 침공했으니 조선을 구원해달라며 구원병 파병을 요청하게 됩니다. 그리고 결국 명나라 영락제는 명나라 본토에서의 전쟁을 방지하기 위해 제독 이여송으로 하여 조선에 대규모 병력을 파병하게 되는데요. 실제 징비록 원문에 의하면 후금의 황제이자 청나라의 초대황제인 누르하치가 임진왜란 당시 조선에 구원병을 좀 파견해줄까? 라고 제안을 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당시 조선은 명나라를 천자의 나라로 섬기고 있었고 청나라로부터 구원병을 지원받게 되면 조선의 입장이 매우 곤란해질 수 밖에 .. 밀리터리 2017. 12. 11. 더보기 ›› 전쟁 상황에서 전시재상이었던 류성룡과 윈스턴 처칠의 공통점 류성룡은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전시재상으로 훈련도감 등 조선의 군사체계를 만들어 낸 인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임진왜란 당시 류성룡이라는 전시재상의 노력으로 인해 조선의 모든 전선은 활발하게 돌아갈 수 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임진왜란 종전 이후 350년 후인 2차세계대전 당시 영국의 전시재상이었던 윈스턴 처칠과 류성룡의 공통점이 나타난다고 하는데요. 류성룡과 윈스턴 처칠은 자신들의 조국의 최악의 위기에서 국가의 운명을 결정하는 실질적으로 책임진 지도자였다는 점이라고 합니다. 또한 류성룡과 윈스턴 처칠은 전쟁이 끝나기 직전에 전시재상의 자리에서 물러났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류성룡과 윈스턴 처칠은 자신들이 겪은 전쟁을 기록하는 회고록을 펼쳐내어 후손들에게 과거의 실수를 되풀이 하지 않도록 했다.. 밀리터리 2017. 8. 9. 더보기 ›› 왜란으로부터 민족을 구한 조선의 영웅들 일본 열도를 통일한 하시바 히데요시가 1952년에 명나라를 정복하겠다. 명나라로 갈 수 있게 조선이 길을 빌려달라는 정명가도를 거절한 조선을 침공한 왜란으로 한국에서는 이를 1592년 임진년에 일어난 왜란이라 하여 임진왜란이라고 부른다. 왜란으로부터 민족을 구한 조선의 영웅들 충무공 이순신 (전라좌수사, 삼도수군통제사) 현대 한국사회에서는 성웅으로 묘사하고 있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은 전라좌수사로 왜군과 맞서 싸웠으며 대체적으로 이순신 장군과 조선수군의 대표적인 전투는 한산도 대첩이지만 부산포해전으로 인해 임진왜란 당시 조선수군이 남해안 영역의 해상장악을 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조선에서 전쟁을 벌이고 있는 왜군들의 식량보급을 차단하는 결정적인 역활을 한 조선의 영웅이다. 충의공 정기룡 장군 (조선의 조.. 밀리터리 2016. 12. 22.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