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모택동5

현대 중국인들이 마오쩌둥을 높게 평가하지 않는 이유 마오쩌둥은 중국 건국의 아버지로 2차 국공내전을 승리로 이끌면서 현재 강력한 공산주의권 국가인 중국을 건국한 인물입니다. 신으로까지 추앙받았던 마오쩌둥을 현대 중국인들이 높게 평가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중국이 개혁개방을 통해 경제성장을 이룩하는 동안 중국의 많은 부모들은 자녀들을 해외에 유학을 보내는 등 자녀의 교육에 많은 신경을 써왔습니다. 이러한 중국인들의 교육에 대한 관심 덕분에 현대 젊은 중국인들은 서방세계의 문화를 접하고 중국 현대사와 근대사를 사실 그대로 배우게 되었다고 하는데요. 중국이라는 나라는 공산주의권 국가이기 때문에 모든 언론지와 더불어 인터넷 뉴스 등은 중국 공산당의 검열을 받은 후 공개된다고 합니다. 이 때문에 중국의 중, 장년층은 중국의 흑역사를 경험하지 못했기 .. 밀리터리 2017. 8. 22.
전문가들이 말하는 중국 공산당 정부가 수립 될 수 있었던 이유 국공내전 당시 중화민국의 국민당은 미국의 원조를 받으며 중국 공산당보다 우위에 있었다고 합니다. 역사학계에서는 중국 국공내전에서 중국 공산당이 승리할 수 있었던 이유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1. 심각한 중국 내부의 경제파탄 중국 국민당의 장제스 정권은 1930년대 초까지 중국의 은행들이 남발하는 법정화폐를 통일하였습니다. 또한 상해를 중심으로 경제성장이라는 업적을 남겼다고 하는데요. 중일전쟁 기간동안 1936년 발행량의 100배에 달하는 화폐를 찍어냈습니다. 그 결과 중국의 화폐 가치가 종이보다 못할 정도의 수준의 경제파탄을 불러왔습니다. 이러한 화폐가치의 상실은 중국 내부의 심각한 경제파탄을 불러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하는데요. 이는 국민당의 지반기반이었던 양쯔강 삼각주의 중산층들이.. 밀리터리 2017. 5. 9.
한국전쟁의 주범, 김일성이 소련으로부터 선택받은 이유 4가지 안녕하세요. 한국전쟁의 주범이자 북한의 1대 독재자 김일성은 소련으로부터 선택받아 한국전쟁을 승인 받고 민족의 대참사를 만든 장본인입니다. 결국 소련은 붕괴되었고 현재의 러시아로 국가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소련의 스탈린은 왜 김일성을 선택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전쟁의 주범, 김일성이 소련으로부터 선택받은 이유 4가지 빨치산의 리더 김일성은 동북항일연군이라는 빨치산 활동을 하며 항일운동을 전개했다고 합니다. 특히 동북항일연군은 만주일대에서 활동을 했던 무장독립조직이라 소련과의 교류가 상당히 많았다고 합니다. 항일운동을 전개하면서 소련과의 교류가 소련의 스탈린으로 부터 선택받지 않았나 합니다. 소련군 출신 장교 김일성은 북한의 지도자 이전에 2차세계대전 당시 소련군의 장교로써 활동했다고 합니다. .. 밀리터리 2017. 2. 16.
한국전쟁 당시의 어록들 한국전쟁 당시 수 많은 어록들이 탄생하거나 어록으로 인하여 현재에 이르러 비판을 받는 인물도 존재합니다 한국전쟁 당시 나온 어록에 대해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한국전쟁 당시의 어록들 "포탄 맞으면 어떻게 되는지 알아요? 조그맣게 갈비 조각이 나요. 사람이 분해돼 버리고 아무것도 없어요. 펑 하고 터지고 나서 가 보면(손바닥을 반절쯤 붙잡아 보이며) 나무에 창자 조각 요만큼 걸려있고 살 토막 요만큼 걸려 있고 그래요. 포탄 맞으면 아무것도 없어요.... 버린 게 아니라(시체를) 찾을 수가 있어야 버리죠.(영화 "고지전"을 보았냐는 질문에)... 그런데 그건 애들 장난이지." - 한국전쟁 참전용사 김달육(8사단 16연대) - "지금 한국 국민이 전쟁 속에서 고통당하고 있는데, 이를 돕지 않는 것은 제 양심.. 밀리터리 2016. 11. 13.
재미로 보는 중국의 국공내전 인물과 초한대전의 인물 비교 중국사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이 중국 내전인 국공내전을 현대판 초한지로 부르기도 하는데 실제로 국공내전과 초한대전의 인물이 비슷하게 대칭되는데 마오쩌둥(모택동)은 한고제처럼 초반 약세에도 불구하고 결국 천하를 손에 넣었고 강력한 군사력을 보유하고도 패한 항우처럼 장제스는 500만 대군을 보유하고서도 결국 패배하여 대만으로 쫓겨나고 만다. 한나라 초반에 한신이나 팽월, 영포같은 일등 공신에 대한 숙청이 벌어진 것처럼 중화인민공화국에서도 최고의 공신이었던 펑더화이와 린뱌오는 숙청되었으며 한고조가 늙은 후 왕비인 여후가 실권을 장악한 것처럼 마오쩌둥이 병석에 눕자 마오의 부인이니 장칭이 실권을 장악하였다 마오쩌둥 (초한지 : 유방) 한고조 유방과 마오쩌둥은 초반 약세와 후반 역전, 말기 공신숙청에 있어서 비슷한.. 밀리터리 2016. 10.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