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탈북자7 자신을 살려준 한국군을 강하지 않은 것 같다고 발언한 북한군 탈북자 지난 2017년 11월,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을 통해 귀순한 북한군 병사 오청성은 최근 일본 산케이 신문과 인터뷰를 했다고 합니다. 자신을 살려준 한국군을 강하지 않은 것 같다고 발언한 북한군 탈북자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한국군에서 목숨을 살린 북한군 병사 오청성은 한국으로 귀순한 후 한국에서 큰 이슈가 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얼마 전, 오청성은 일본 도쿄에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한국군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라는 질문에 '군대 같지 않는 군대'라고 답했다고 하는데요. 오청성은 '군대 같지 않은 군대'라고 말한 후 나와 비슷하게 훈련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전체적으로 한국군이 강하지는 않은 것 같다'고 인터뷰에서 발언했다고 합니다. 이 인터뷰 내용이 한국 국방부에 흘러들어갔고 이에 국방부 대변인은 '개인.. 밀리터리 2018. 12. 10. 더보기 ›› 대한민국이 난민을 받지 않지만 탈북자들을 대거 수용하는 이유 대한민국은 1951년 제네바에서 열린 UN회의에서 체결 된 난민협약에 의거하여 난민을 받는 국가라고 합니다. 하지만 대한민국 정부는 대규모 난민을 수용하지 않을 뿐더러 난민을 허용하는 확률이 매우 낮다고 할 수 있는데요. 대한민국이 난민을 받지 않지만 탈북자들을 대거 수용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난민의 경우 세계적으로 큰 문제가 되면서 유럽 일대가 혼란을 겪기도 했습니다. 물론 난민들은 동남아시아로 넘어가 난민을 신청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난민들은 동북아시아로 난민을 신청하는 경우가 없었다고 합니다. 물론 난민이 대거 발생한 시리아에서 유럽과 중동 그리고 동남아시아는 비교적 가까운 편에 속하지만 동북아시아는 꽤 먼 거리라고 할 수 있는데요. 동북아시아는 전 세계에서 가장 .. 밀리터리 2018. 4. 26. 더보기 ›› 한국에 정착한 북한 탈북자들이 말하는 북한 주민의 분류 3가지 1994년 북한이 실행한 '고난의 행군'으로 인해 북한을 탈출하는 북한 주민들이 급증가하면서 탈북민이라는 단어가 생겨났다고 합니다. 또한 채널A에서 방영되는 '이제 만나러 갑니다' 라는 프로그램은 탈북자들이 출연해서 탈북의 실상을 알려주고 있는데요. '이제 만나러 갑니다'에 출연하는 탈북자들은 일반적인 북한주민들은 누구나 탈북을 꿈꾸며 산다고 이야기하기도 했는데요. 탈북자들이 말하는 북한 주민의 분류 3가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똑똑한 놈 탈북자들은 북한 주민들 중에서도 가장 똑똑한 놈은 자유 대한민국으로 탈북하는 사람들이라고 합니다. 특히 탈북자들은 어차피 목숨걸고 탈북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유롭게 생활하고 언어가 통하는 대한민국으로 오는 사람이 제일 똑똑한 것이라고 이야기했는데요. 탈북자.. 밀리터리 2018. 2. 7. 더보기 ›› 한국 정부가 탈북자들에게 한국 국적을 바로 주는 이유 대한민국 국정원의 발표에 의하면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탈북자의 수는 3만 명을 넘어섰다고 합니다. 한국으로 입국하는 탈북자가 증가하기 시작한 것은 북한의 '고난의 행군'시기 부터라고 알려져 있는데요. 한국 정부가 탈북자들에게 한국 국적을 바로 주는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탈북자가 대한민국으로 입국하게 될 경우 탈북자라는 대한민국 국정원에 의해 조사실로 이송되어 간단한 조사와 신분확인 이후 '하나원'이라는 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는다고 합니다. '하나원'에 입소한 탈북자들은 대략 6개월 정도의 간단한 기본교육을 받고 대한민국 사회로 나오게 되는데요. 대한민국 정부가 '탈북자'들에게 6개월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의 교육만 마친 후 대한민국 국민으로 인정되는 '주민등록증'을 발급해주는 것은 대한민국 국가.. 밀리터리 2017. 11. 19. 더보기 ›› 북한 김정은 정권이 들어서자 탈북자가 급감소하는 이유 대한민국 국정원 발표에 의하면 김정은이 북한 지도자로 취임한 이후 탈북자가 감소하고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북한 김정은 정권이 들어서자 탈북자가 급감소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북한을 탈출하여 제3국이나 대한민국으로 망명하는 북한 주민에 대한 공식적인 통계는 아직 잡혀 있지 않다고 합니다. 하지만 1995년부터 1998년까지 발생한 '고난의 행군' 이후 북한을 탈출하여 대한민국에 입국한 탈북자는 3만 명이 넘었다고 하는데요. 북한 김정은 정권이 들어서자 북한 당국은 탈북하는 주민들을 막기 위해 중국-북한 간 국경에 대한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중국-북한 국경에 철조망을 설치하여 넘어가게 하지 못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심지어 북한 당국은 중국으로 넘어가려는 주민을 보면 '.. 밀리터리 2017. 10. 17.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