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히로시마2 2차대전 당시 미국이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폭을 투하한 이유 2차세계대전 태평양 전쟁 당시 미국은 왜 일본의 수도가 아닌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핵폭탄을 떨어트렸을까요? 미군이 2차세계대전 당시 나가사키와 히로시마에 원폭을 투하한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차세계대전에서 유럽전선에서는 독일이 항복을 하고 유일하게 남은 일제가 남았는데 미군은 나가사키와 히로시마에 핵폭탄을 떨어트리고 나서 일제는 항복을 하게 되었습니다. 태평양 전쟁 당시 미국이 핵폭탄을 투하하기로 한 도시는 4곳으로 교토, 히로시마, 니가타, 고쿠라가 선정되었다고 합니다. 미군의 목표도시는 첫번째 기준으로 지름 3마일(4.82km)이상의 큰 도시이며 중요한 역활을 하는 도시로 선정을 해야만 했었다고 하는데요. 미국의 입장에서는 원폭 트하시 효과적인 손해를 입힐 수 있는 도시를 원했다고 합니다. 일.. 밀리터리 2018. 1. 10. 더보기 ›› 2차세계대전에서 일제가 미국을 건들여서 생겨난 결과 6가지 2차세계대전에서 일제는 미국에 선전포고도 없이 진주만을 폭격하였습니다. 이에 미국은 일제에게 선전포고를 감행했습니다. 미국의 선전포고 이후 일제와 동맹국이었던 이탈리아, 나치 독일은 미국에게 선전포고를 하게 되면서 미국이 본격적으로 2차세계대전에 참전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1. 미국의 연합국측으로의 참전 일제의 진주만 폭격으로 인한 미국 내부의 참전 여론이 거세지면서 미국의회는 결국 연합국측으로부터 2차세계대전에 참전을 하기로 결의했습니다. 일제의 진주만 폭격에 대한 목적은 미국과의 협상이었지만 결과적으로 미국이 연합국측으로 참전하면서 유럽전선과 태평양 전선에서 밀리게 되었습니다. 2. 미군의 유럽전선 투입 미국은 유럽전선에도 미군을 투입시키게 되는데 대표적으로 프랑스를 탈환하기로 한 노르망디 상륙작전이.. 밀리터리 2017. 5. 7.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