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베트남 전쟁10

베트남이 대한민국 만큼은 무시하지 못하는 이유 베트남은 미국을 비롯한 프랑스, 중국과 전쟁을 치룬 경험이 있는 국가입니다. 또한 베트남 전쟁 당시 대한민국 국군은 미국의 동맹국 자격으로 전투병력을 파병하기도 했는데요.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미국을 무시하는 베트남이 대한민국 만큼은 무시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한민국 국군이 베트남에 전투병력을 파병한 전쟁은 현대 한국인들은 베트남 전쟁이라고 일컫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군이 참전한 전쟁의 공식명칭은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이라고 하는데요. 사실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국은 베트남 전쟁의 상황이 좋지 않자 주한미군 역시 베트남 전쟁에 참전 시킬 생각이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당시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 철수시키지 말고 우리가 전투병력을 파병해줄테니 경제 원조를 비롯하여 주한미군을 철수시키지 말라.. 밀리터리 2017. 12. 13.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국이 베트남에서 철수하면서 한국에 끼친 영향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국은 닉슨 대통령이 당선 되면서 베트남에서 철수하게 되었고 미군이 베트남에서 철수하면서 동맹국들도 군대를 철수했습니다. 그리고 미국이 베트남에서 철수하자 베트남은 월맹에 의해 공산화되었고 공산정권이 수립되었는데요.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국이 베트남에서 철수하면서 한국에 끼친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국 닉슨 대통령은 대통령 선거 당시 베트남 파병 미군을 철수하겠다는 공략을 내걸었습니다. 그리고 대통령에 당선되자 미군을 순차적으로 철수시키겠다고 발표했는데요. 또한 베트남 전쟁 이후 미국 닉슨 대통령은 중국을 방문했고 미국은 중국과 수교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됩니다. 하지만 대한민국에 큰 문제가 발생하는데 그 것은 바로 닉슨 대통령이 발표한 '닉슨 독트린'이었던 것입니다. 미국 정부가.. 밀리터리 2017. 10. 2.
베트남이 주장하는 베트남 전쟁 당시 한국군의 전쟁범죄 4가지 베트남 전쟁 당시에 한국군은 전쟁의 특성상 민간인 학살이 없었다고 할 수는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베트남 전쟁 당시 작성된 한국군의 전쟁범죄 기록은 신뢰 할 만한 문서에도 없을 정도라고 합니다. 김종수 소위 학살 사건 대한민국 법정에서 사실 임이 입증된 학살사건 중 알려진 유일한 사건이라고 합니다. 월남전 당시 김종수 소위가 지휘하는 부대가 야간 매복작전에서 베트남 민간인 6명을 사살한 사건이라고 하는데요. 이들은 군법재판에 회부되면서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15년형으로 감형되었다고 합니다. 김종수 소위 역시 본인은 매복 작전에서 적을 사살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법정에서 그 주장을 인정하지 않았다고 알려져 있으며 형을 다 받은 김종수 소위는 목사가 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고자이 마을 .. 밀리터리 2017. 6. 1.
군사전문가들이 바라본 베트남 전쟁의 평가 2가지 베트남 전쟁은 냉전시대를 대표하는 전쟁 중 하나로 엄청난 인명피해를 낳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미국의 전쟁 역사상 최초로 패배한 전투라고 할 수 있는데요. 따라서 베트남 전쟁에 대해서는 군사전문가, 역사학자들의 주장을 보면 베트남 전쟁에 대한 평가를 볼 수 있다고 합니다. 민족의 통일과 내전 베트남 전쟁은 특히 자주 통일 국가를 건설하려고 하는 베트남 민족들과 외부세력의 대결로 보는 시각이 있다고 합니다. 특히 베트남 전쟁은 프랑스가 변화된 국제정세를 무시하고 베트남을 계속 식민지로 유지하려다가 시작된 것이라는 것인데요. 역사적 관점으로 살펴본다면 남베트남은 사실상의 프랑스 정부가 만든 괴뢰국가에 불과했다고 합니다. 프랑스가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베트남의 식민지배를 포기하고 프랑스군을.. 밀리터리 2017. 5. 15.
베트남 전쟁에서 월남이 패망한 원인 3가지 베트남은 미국이 전투에서는 승리한 전쟁이지만 결과적으로는 패배한 전쟁입니다. 또한 베트남 전쟁은 미군 역사상 최초이자 마지막 패배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물론 한국도 미국의 동맹군 자격으로 전투병력을 파병하였고 미군의 파병을 미국 의회에서 결정하자 한국군도 더불어 본국인 한국으로 귀국하였습니다. 베트남 공화국의 패망 원인 3가지 역사적 문제 베트남은 이념논쟁 이전에 있어 남북 간의 이질적인 격차가 상당히 심한 편이었다고 합니다. 베트남의 원주민들인 킨족과 참족은 계통과 문화 자체가 완전히 달랐다고 볼 수 있습니다. 킨족은 중국 남부 계통의 민족으로 중국을 정점으로 하는 유교-한자-동아시아 문화권에 속해 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참족은 말레이계 민족으로 이슬람교를 믿었다고 하며 이들은 인도 문화권에 속해 있.. 밀리터리 2017. 5.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