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본제국3

일본인들이 말하는 2차대전 당시 일본군 3대오물 (feat.대한민국의 숨겨진 국가유공자) 2차세계대전 당시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제국의 패망을 앞당긴 일제의 고위급 장성급 3명을 묶어서 현대 일본인들은 그들을 삼대오물이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일본의 우익성향의 네티즌들 역시 이들을 옹호해주거나 방어해주지 않는다고 하는데요. 국가 수뇌부가 무능하면 나라가 어떻게 바뀌는지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고 할 수 있다고 합니다. 무타구치 렌야 무타구치 렌야는 일제의 장군으로 도미나가 교지, 츠지 마사노부와 함께 무능함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인물이라고 합니다. 무타구치 렌야는 유명한 희대의 팀킬인 임팔 작전 등으로 일본군 수 만 단위를 팀 킬 시킨 역사에 길이 남을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중 하나입니다. 무타구치 렌야는 일본군 지휘관답게 수 많은 실패에도 끝까지 책임을 지지 않고 요직에 있었다고 하는데요. 무타구치.. 밀리터리 2018. 1. 1.
인류 역사상 가장 멍청한 행동으로 꼽히는 '진주만 공습' 2차세계대전 당시 일제는 미국의 해군기지 진주만을 기습공습하여 미군 사상자를 발생시켰으며 이로 인해 미국이 전쟁에 참전하게 되는 명분을 제공했습니다. 이로 인해 전쟁의 흐름을 연합국으로 흘러가게 되었으며 유럽 전역을 포함한 모든 전선에서 연합국이 승리를 챙취하면서 일제는 전쟁범죄국으로 재판을 받게 되었습니다. 미국이 본토로 규정하는 진주만을 공격했던 일제의 경우에는 진주만 공습을 제외하고 미국은 전략적 피해를 입었습니다. 하지만 미국의 참전은 태평양 서부 연안지역 민간인들에게 전쟁의 공포를 확산시켰다고 볼 수 있는데요. 이로 인해 다소 혼란은 발생하였으며 일제의 진주만 공습은 사실상의 목적이 미국 여론 혼란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진주만 공습 이후 미국 여론의 혼란이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미.. 밀리터리 2017. 12. 29.
2차세계대전에서 일제가 미국을 건들여서 생겨난 결과 6가지 2차세계대전에서 일제는 미국에 선전포고도 없이 진주만을 폭격하였습니다. 이에 미국은 일제에게 선전포고를 감행했습니다. 미국의 선전포고 이후 일제와 동맹국이었던 이탈리아, 나치 독일은 미국에게 선전포고를 하게 되면서 미국이 본격적으로 2차세계대전에 참전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1. 미국의 연합국측으로의 참전 일제의 진주만 폭격으로 인한 미국 내부의 참전 여론이 거세지면서 미국의회는 결국 연합국측으로부터 2차세계대전에 참전을 하기로 결의했습니다. 일제의 진주만 폭격에 대한 목적은 미국과의 협상이었지만 결과적으로 미국이 연합국측으로 참전하면서 유럽전선과 태평양 전선에서 밀리게 되었습니다. 2. 미군의 유럽전선 투입 미국은 유럽전선에도 미군을 투입시키게 되는데 대표적으로 프랑스를 탈환하기로 한 노르망디 상륙작전이.. 밀리터리 2017. 5.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