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최영6 일본 역사 상 일본이 가장 두려워했던 한민족의 명장 8명 한민족은 고대사부터 왜구와의 인연이 많은 민족입니다. 일본은 조선 중세에 조선에 대한 대규모 침공을 시작으로 일제강점기까지 한민족에게 엄청난 치욕을 안겨준 국가인데요. 한민족 역사상 일본이 가장 두려워했던 명장 8인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 임진왜란 당시 조선 수군의 총사령관으로 남해안 일대를 장악하여 일본군의 식량보급 및 군량보급을 차단시킨 인물입니다. 이순신 장군은 현대 한국인들에게 가장 많이 사랑받고 존경받고 있는 인물인데요. 이순신 장군은 일본을 최초로 통일한 도요토미 히데요시마저 이순신의 조선 함대와 전투를 벌이지 말라고 하달까지 했다고 합니다. 진주목사 김시민 임진왜란 초기 호남진공에 실패한 일본군이 3만의 대규모 병력을 동원하여 진주성을 공격 할 당시 3,800명의 .. 밀리터리 2018. 2. 25. 더보기 ›› 이성계가 최영의 '요동정벌'을 반대했던 '사불가론'을 알아보자 여말선초 당시 고려 '우왕'의 장인이었던 '최영 장군'은 요동정벌을 추진했습니다. 하지만 이성계는 '요동정벌'을 반대했고 '요동정벌'의 반대에 대해 '사불가론'을 내세웠는데요. 이성계가 '요동정벌'의 반대에 대해 내세운 '사불가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소국(고려)가 대국(명)을 치는 것은 옳은 일이 아니다. 이성계는 최영의 '요동정벌'에 대해 당시 고려의 국왕이었던 '우왕'에게 소국이 대국을 치는 것은 옳은 일이 아니라고 이야기했다고 합니다. 현재 21세기 한반도와 중국 대륙의 지도만 보더라도 땅덩어리가 어마어마하게 차이가 나는데요. 당시 이성계가 주장했던 '소국이 대국을 치는 것은 옳은 일이 아니다.'라는 것은 주장한 것은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즉, 이성계가 이러한 주장을 한 것은.. 밀리터리 2018. 2. 12. 더보기 ›› 이성계가 최영이라는 충신을 제거한 진짜 이유 고려 말기의 명장이었던 이성계와 최영은 당대 백성들에게 영웅으로 불렸던 전설적인 인물입니다. 하지만 이성계는 '위화도 회군'을 통해 고려의 수도인 개경을 함락시켰고 정권을 잡은 이성계는 '최영'을 제거했는데요. 이성계가 최영이라는 충신을 제거한 진짜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고려 말기 고려와 명나라는 영토분쟁에 휩싸이게 되면서 당시 고려 조정의 수장이라고 할 수 있는 '문하시중' 최영에 의해 고려는 요동정벌을 추진했습니다. 그리고 고려군은 최영을 필두로 우군지휘관 '이성계', '좌군지휘관' 조민수를 임명하여 군대를 출정시켰는데요. 하지만 요동을 정벌하기 위해 출정한 공요군(공격 요동군)은 위화도 인근에서 장마를 맞이했고 식량보급을 비롯한 역병을 겪고 회군을 결정했습니다. 그리고 요동공격을 포기하고.. 밀리터리 2018. 2. 12. 더보기 ››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이 고려판 '주사위는 던져졌다'인 이유 3가지 위화도 회군은 역사적으로 군사 쿠데타로 인한 고려의 말명으로 보고 있는 사건입니다. 또한 역사전문가들 역시 위화도 회군을 고려판 '주사위는 던져졌다'라고 비유하기도 하는데요. 위화도 회군이 고려판 '주사위는 던져졌다'라고 평가받는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신진사대부 세력의 등장 고려 우왕 시절에는 고려의 기존 무신정권 세력은 거희 없어졌다 시피 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삼별초의 난 이후로 무신정권보다는 최영, 이성계, 최민수 등의 무인들이 세력을 구축하고 있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원나라를 지지하는 친원파 세력은 원나라가 중국 대륙에서 원나라가 패배할 위기에 놓이자 세력이 점차 약화되면서 제거 되기 시작했는데요. 사대부들은 이성계를 지지하여 왕으로 내세우면서 무신정권 보다는 사대부를 중심으로 하는 .. 밀리터리 2018. 1. 12. 더보기 ›› 이성계가 조선 건국 당시 '최영' 장군을 처형한 이유 최영 장군은 한민족 역사 상 충신으로 평가받고 있는 인물이자 고려 말기 영웅으로 추앙받았던 인물입니다. 하지만 이성계는 '위화도 회군' 이후 최영 장군을 유배 보낸 후 처형했는데요. 이성계가 조선 건국 당시 '최영' 장군을 처형한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최영 장군은 아시다시피 고려 말기 '제2차 요동정벌'을 추진했던 인물로 고려 32대 국왕이었던 우왕의 '장인'이었습니다. 또한 최영 장군은 이인임, 염흥방 등 권문세족을 제거함에 따라 고려의 왕권을 바로 잡으려고도 노력했던 인물입니다. 하지만 최영 장군은 이인임, 염흥방과 같은 권문세족 출신으로 흔히 말하는 '금수저' 출신이었습니다. 또한 '최영' 장군은 백성들의 삶을 바꾸려고 노력했지만 그 것은 극히 일부에 그쳤다는 것이 역사학계의 추측인데요. 당.. 밀리터리 2017. 11. 12.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