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트럼프12

북일 정상회담 요구하던 일본에 2차 팩트폭행 날린 북한 일본 '아베 신조' 총리의 연임이 확정된 가운데 일본은 북한과 정상회담을 하자는 요구를 계속해서 하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북한은 일본이 과거 역사를 청산하는 사죄를 하고 그에 합당한 배상을 하기 전까지 정상회담을 없을 것이라며 선을 그었는데요. 북일 정상회담 요구하던 일본에 2차 팩트폭행 날린 북한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지난 27일, 북한 노동당에서 발간하는 노동신문은 일본 정부의 행동에 '평화를 위협하는 사무라이 후예들의 광기'라며 일본 정부를 비판했다고 합니다. 해당 논평에는 '일본이 우리와 대화를 요구하면서 평화를 들먹이며 광고를 하고 있다'며 날선 비판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고 하는데요. 특히 북한 노동신문은 일본 아베 신조가 '새로운 시대'라는 요설을 늘어놓은 것은 정말 후안무치하기 .. 실시간 이슈 2018. 9. 28.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내 지지율이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는 이유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 정부의 '북미정상회담' 요구에 승낙하면서 미국 최초로 북한과 정상회담을 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북미정상회담' 소식이 미국 내부에 알려지게 되자 지지율이 하락하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이 다시 올라가고 있다고 하는데요.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내 지지율이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얼마 전 미국 언론의 한 기자에게 '이번에 노벨평화상 받으시겠습니다'라는 질문을 받았다고 합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의 질문에 답변은 하지 않고 씩 웃고 퇴장했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남북정상회담' 이후 '북미정상회담' 개최 협상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북한은 북한에 억류되어 있는 미국인들을 미국으로 보내기 위해 호텔로 옮겼.. 밀리터리 2018. 5. 4.
북한 김정은이 6차 핵 실험 이후 너무나 조용한 이유 북한은 2017년 9월 3일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에서 6차 핵실험을 실행하여 한국, 중국, 일본, 미국의 반발을 샀습니다. 또한 북한의 6차 핵실험 이후 국제연합은 강력한 대북제재 결의안을 통과시켜 북한의 외화벌이에 대한 모든 경로를 차단하려고 하고 있는데요. 북한 김정은이 6차 핵 실험 이후 너무나 조용한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북한은 최근 6차 핵 실험 이후 국제사회와 미국을 상대로 도발을 자제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북한의 조선중앙티비 역시 핵 미사일에 대한 보도를 자제하고 중국의 동향을 살피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 하는데요. 북한이 최근 너무나 조용한 이유는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동북아/동남아 순방 때문이라고 합니다. 또한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최대 후원자인 .. 밀리터리 2017. 11. 15.
북한 김정은은 진짜 미친 것일까? 미친척 하는 것일까? 북한 김정은이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맞서 반미 집회를 한다는 성명을 발표하면서 미국을 자극하고 있습니다. 북한 김정은이 진짜 미친 것인지, 미친척 하는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제사회의 비판 속에서도 북한은 얼마 전 6차 핵실험을 감행하면서 전 세계의 분노를 샀습니다. 또한 북한은 수소폭탄을 공개하면서 자신들이 핵 개발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기도 했는데요. 심지어 북한 조선중앙티비는 미국의 괌을 포위사격하여 괌을 불바다로 만들 수도 있다며 미국을 도발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전 세계는 북한처럼 약한 전력을 가지고 미국을 도발하고 있다는 것에 놀라워하고 있다고 합니다. 심지어 북한 내부에서는 미국을 비판하는 집회를 북한 노동당 직속 신문인 노동신문에 김정은의 사진과 성명을 넣어 배포하기도.. 밀리터리 2017. 9. 25.
북한 6차 핵실험에 대한 주변국의 반응을 알아보자 북한이 6차 핵실험을 감행했고 북한 핵 실험이 주변국들에게 알려지자 주변국들의 반응은 실시간으로 보도되기도 했는데요. 북한 6차 핵 실험에 대한 주변국들의 반응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한민국 문재인 대통령은 북한 6차 핵실험에 관련하여 대통령 주재 NSC 전체회의를 긴급 소집했습니다. 또한 NSC 전체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강력한 대북감시과 전군 경계태세를 요구했고 합참은 전군에 대한 경계태세를 격상했습니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한 군 수뇌부는 미국 수뇌부와의 전화통화를 통해 강력한 대북제재에 대해 공감했다고 보도되었는데요. 대한민국 정부는 북한의 6차 핵실험에 관련하여 기존의 '도발에 대한 강력한 제재'를 포함한 '대화'를 유지한다는 입장을 유지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미국 미국은 북한 6.. 밀리터리 2017. 9.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