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재평가해야 할 한국사 인물 7인
한국의 역사는 한국사로 가장 자세한 기록이 되어 있는 것은 고려사와 조선왕조실록이라고 합니다. 한국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는 역사 기록서보다 현대 한국인들이 재평가해야 하는 인물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태종 이방원
태종 이방원은 조선의 3대 국왕으로 조선의 초대국왕 태조 이성계의 아들입니다. 이방원은 대체적으로 왕자의 난으로 왕위에 오른 폭군이라는 평가가 대부분인 인물인데요. 태종 이방원은 한국인이 가장 존경하는 세종대왕의 아버지로써 세종대왕이 국정을 잘 볼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가 일부 존재한다고 합니다. 또한 태종 이방원이 조선을 통치할 당시 조선은 경제적으로 흑자를 달성하여 백성들이 대체적으로 부유한 삶을 살았다고 합니다.
척준경
척준경 장군은 대체적으로 반역에 가담한 고려의 장군으로 평가받고 있는데요. 척준경 장군은 반란에 가담하여 고려사 반역열전에 이름에 올랐지만 반란을 진압한 인물이기도 합니다. 척준경 장군은 윤관의 여진정벌에 참여하여 여진족을 공포로 몰아넣었으며 여진족이 다시는 고려의 국경을 침범하지 못하게 한 공이 있는 장군입니다. 잘 알려지지 않은 부분이지만 척준경 장군은 종기로 사망했다고 고려사는 기록하고 있는데요. 실보다는 공이 더 많기 때문에 척준경 장군은 현대 한국인들로부터 소드마스터라는 별명을 가지게 된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영조대왕
조선의 르네상스를 열었던 정조대왕의 할아버지로 사도세자의 아버지이기도 한 영조대왕입니다. 영조대왕은 자신의 아들인 사도세자의 이야기로 인해 정없는 아버지라는 평가가 대부분의 인식인데요. 영조대왕은 정조대왕이 열었던 조선의 르네상스의 기반을 마련했다고 알려져 있으며 백성들에겐 너그럽지만 신하들에겐 엄격했던 국왕이었다고 합니다.
이억기 장군
1592년 이순신 장군과 함께 조선 연합함대를 지휘했던 전라우수사 이억기 장군입니다. 이억기 장군은 조선왕족의 종친으로 경상우수사 원균에 밀려 인지도가 적은 명장인데요. 이억기 장군은 이순신 장군과 더불어 무적의 조선함대를 지휘하여 무패의 신화를 만들어낸 지휘관이라고 합니다. 이억기 장군은 칠천량 해전에서 왜군과 싸우다가 전사했다고 합니다.
권율 장군
임진왜란 당시 권율 장군은 왜군의 대군을 상대로 호남 진격을 막아낸 명장입니다. 사실 현대 한국인들은 권율 장군을 행주대첩에서 왜군을 상대로 대승을 이룬 지휘관이라고만 인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권율 장군은 임진왜란 발발 초기에 왜군의 호남 진격을 막아내어 호남을 중심으로 조선군의 반격의 기틀을 마련한 명장이라고 볼 수 잇습니다. 물론 패배한 전투도 있긴 하지만 결과적으로 조선의 반격이라는 기틀을 마련해준 명장이라고 볼 수 있죠.
어영담
임진왜란 당시 조선좌수영 소속으로 남해안의 해안 지리 전문가였던 광양현감 어영담 장군입니다. 어영담 장군은 조선수군이 출정 계획을 잡게 될 경우 물살의 세기 등의 정보를 제공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대체적으로 광양현감 어영담 장군에 대해서 현대 한국인들은 잘 모르지만 임진왜란 당시 조선수군이 유리한 위치에서 싸울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 것이 바로 어영담 장군이엇다고 합니다.
송희립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부관으로 칠천량 해전 이후 이순신 장군의 조선 수군 재건에 큰 공이 있는 송희립 장군입니다. 송희립 장군은 임진왜란 당시 조선 수군의 초창기 출정부터 노량해전까지 참전했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무엇보다도 송희립 장군은 칠천량 해전으로 흩어진 조선 수군을 다시 모이게 하였고 판옥선 건조작업을 통해 무적의 조선 수군을 재건하고자 했다고 합니다. 송희립 장군은 인조반정 이후 자연사로 사망햇다고 합니다.
<글쓴이 추천 글 링크>
이 글이 재미있거나 유익하셨다면 로그인이 필요없는
아래에 있는 <공감> 버튼 한 번 눌러주세요
'밀리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 핵으로 인한 한반도 위기설에 고통받는 대한민국 (0) | 2017.04.22 |
---|---|
냉전시대가 만든 한반도의 안타까운 이야기 (0) | 2017.04.21 |
한국의 주변국과 해상 갈등 및 총전력 비교 (2) | 2017.04.20 |
2차세계대전, 도쿄대공습에 대한 반응들 (0) | 2017.04.20 |
미국이 북한 선제타격을 하지 못했던 이유 5가지 (0) | 2017.04.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