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리터리

한국 역사에 기록되어 있는 레전드급 명장 7인

똥베이런 2017. 5. 4.
반응형


한국 역사에 기록되어 있는 인물들 중 개인적인 생각으로 한국사에서 레전드급으로 평가받고 있는 명장 7인에 대해 평가를 해보았습니다. 



정기룡 (조선의 조자룡)


임진왜란 당시 활약했던 장군으로 본명은 정무수였지만 무과에 급제하자 선조가 친히 정기룡이라는 이름을 하사했다고 합니다. 또한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 장수가 인정한 4명의 조선의 장수 중 1명으로 인정받았다고 조선왕조실록에는 기록되어 있다고 하는데요. 정기룡 장군은 임진왜란 당시 기병 수십기로 왜군 500명을 격파했다는 기록과 금산 전투에서 포로가 된 조경을 필마단기로 구출했다는 기록이 존재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조명연합군의 참패로 유명한 용인전투에서 극소수의 경상도 병력 중에서도 유일하게 전과를 올린 군관이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광해군 집권 시절 통제사에 자리에 오르지만 후궁들에게 뇌물을 써서 승진했다는 소리와 반역에 가담했다는 소리가 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결국 무죄로 판명되었고 후에 조선 영조에 이르러 충의공으로 격상되었다고 합니다.



이의민 (금강야차)


고려시대의 무신으로 무신정권의 네번째 집권자입니다. 특히 이의민은 고려시대 무신정권 시대를 풍미하였던 집권자들 중에서도 가장 파란만장한 일생을 살다가 간 인물입니다. 대체적으로 이의민은 천민 출신으로 알려져 있으며 사회의 밑바닥에서 살았다고 합니다. 이의민은 우연히 얻은 기회로 출세하였으며 고려의 천하를 한 손에 쥐었던 인물이었습니다. 하지만 화려하게 비상한 만큼 비참한 최후를 맞이한 집권자였다고 고려사는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성계 (조선 태조)


조선을 세운 조선의 태조 이성계는 고려시대 말 고려의 영웅으로 평가받는 인물로 이성계의 활 실력은 당대를 평가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조선을 세운 인물이라는 점에 있어서 너무 광대한 평가를 하는게 아니라는 것인가라는 생각이 있을 수 있는데요. 야설과 마찬가지로 정사에서도 이성계의 무용담은 상당히 많이 기록되어 있다고 합니다. 특히 이성계는 말을 타고 돌격하면서 근접백병전으로 활을 사용하여 처리한 적들이 상당히 많다는 것이 있는데요. 때문에 일부 역사매니아들은 이성계를 보우마스터라고 평가하기도 합니다.



유금필 (고려 태조 왕건의 와일드카드)


평산 유씨, 무송 유씨의 시조로 흔히 유금필로 알려져 있습니다. 유금필은 후백제군과의 최대결전이었던 고창전투에서 고려군과 후백제군이 대치하는 상황에서의 일화가 유명한데요. 고려군이 밀리는 상황에서 후백제군이 유금필이 나타나자 왕건과 화친을 맺을 정도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933년에는 후백제군이 신라 국경을 침공하여 서라벌을 공격하자 기병 80기만 이끌고 신라의 수도인 서라벌(경주)로 달려갔다고 합니다. 가는 도중 후백제군과 대치하게 되자 80기의 기병으로 후백제군을 뚫어버리고 서라벌(경주)에 입성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강이식 (고구려 대장군)


강이식 장군은 고구려 영양왕 시절의 고구려 대장군으로 정사에는 기록이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현존하는 고대시대의 야사에 따르면 강이식 장군은 15세에 구십척짜리 철퇴를 마상에서 구사하고 진법을 이루었다고 합니다. 정사에 기록된 자료가 없어서 정확하게 말을 할수는 없지만 야사 또한 역사서에 해당함으로 엄청난 실력을 가진 장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연개소문 (고구려 대막리지)


고구려 말기의 고구려의 재상으로 아버지 연태조로부터 동부대인의 지위를 이어받았다고 합니다. 연개소문은 독재자와 구국의 영웅이라는 평가가 상반되는 인물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삼국사기의 고구려 본기의 기록과 중국 당나라 역사서인 구당서를 비교해보면 상당한 실력의 소유자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척준경 (고려의 소드마스터)


척준경 장군은 고려의 용장이자 금나라를 세운 여진족을 개박살 내버린 전설의 소드마스터입니다. 개인의 무력으로 따지자면 중국의 항우와 비교할 정도의 장수라고 할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고려의 기병 200기를 이끌고 여진족을 박살내버리거나 혼자 방패와 검을 들고 돌격하여 성문을 여는 등의 전설의 무용담이 있는데요. 다들 잘 모르시겠지만 척준경 장군 반역에 가담하여 생을 마감한 것이 아니라 등에 난 종기 때문에 사망했다고 합니다.


<글쓴이 추천 글 링크>

일제의 진주만 폭격이 낳은 6가지 결과들

2차세계대전이 일어나게 된 주요배경들

중국 인민해방군 8군구의 위치 및 역활

현재 존재하고 있는 세계의 다국적 군대

안중근 의사는 장군인가? 의사인가?


이 글이 재미있거나 유익하셨다면 로그인이 필요없는

아래에 있는 <공감> 버튼 한 번 눌러주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