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밀리터리615

한미일 연합해군이 인류 역사 상 가장 강력한 함대로 평가받는 이유 한미일 연합해군은 인류 역사 상 가장 강한 연합함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무슨 이유 때문에 한미일 연합함대를 인류 역사 상 가장 강력한 함대로 평가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한미일 연합함대는 미국을 필두로 구성이 가능한 연합함대라고 합니다. 또한 이 연합함대는 중국, 러시아가 가장 두려워하는 전력이기도 하다고 하는데요. 일단 기본적으로 세계 해군력 1위의 미 해군을 필두로 12척의 현역 항공모함이 한미일 연합 해군의 핵심이룬다고 합니다. 또한 일본 해상자위대는 국제법 상 정규군을 보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냉전 당시 일본 열도를 수호하기 위해 해상전력에 엄청난 투자를 감행했습니다. 이로 인해 일본 해상자위대는 세계 4위의 해상전력을 보유하게 되었는데요. 군사전문가들은 한미일 연합해군이 인류 역사 상 가.. 밀리터리 2018. 1. 8.
일제강점기 시절 민족의 독립을 위해 독립 자금을 지원해주던 국내 기업 약 110년 전 일제의 조선총독부가 설립되자 일제는 조선총독부 초대 총독으로 이토 히로부미를 임명하였고 결국 이토 히로부미는 조선총독부 총독으로 취임했습니다. 이토 히로부미의 조선총독부 총독 취임 이후 대한제국의 국권은 하나 씩 일제로 넘어갔고 결국 1910년에는 한일합방으로 인해 결국 조선은 일제에 의해 식민지가 되어 나라를 빼앗겼습니다. 나라를 빼앗긴 이후 조선의 백성에게 가슴이 답답하고 울화통이 치밀었던 시절 조금이나마 위안이 되었던 생명수가 있었다고 합니다. 당시 활명수는 단순히 답답한 속을 풀어주는 것이 아닌 진짜 생명을 살리는 생명수였다고 합니다. 사실 조선 말기에는 약이라고는 한약제를 끊여 달인 탕약이 전부였던 시절이었고 약이라는 것 자체를 구하기 상당히 힘들었다고 합니다. 당시에는 단순히 .. 밀리터리 2018. 1. 7.
대한민국 건국 역사 상 가장 최악의 사건 대한민국 헌정 역사 상 가장 최악의 사건은 군대를 이용한 민간인 학살 사건인 광주 민주화운동을 비롯한 여러 사건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대한민국 헌정 역사 상 가장 최악의 사건은 12.12 군사반란사건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12.12 군사반란은 박정희 전 대통령 서거 이후 군부 주축세력이었던 '하나회'가 군대를 움직여 군부를 장악하고 군대를 정치적으로 이용한 사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12.12 군사반란 이후 전국적으로 비상계엄령을 즉시 해체하라는 시민들의 요구를 진압하기 위해 광주에 군대를 보냈고 광주의 모든 통신망을 차단했습니다. 또한 전국적으로 전두환 세력인 '하나회'의 군부장악을 반대하는 시위가 전국 곳 곳에서 일어났습니다. 그리고 5.18 광주민주화운동의 사망자는 164명, 부상 3,13.. 밀리터리 2018. 1. 7.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군이 배워간 한국군의 '중대전술기지'의 탄생 비화 한국군이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군으로부터 극찬을 받은 중대전술기지는 중국 공산당의 마오쩌둥의 전술을 보고 경험을 토대로 만들어진 전술이라고 합니다. 중국 제1차 국공내전과 2차 국공내전 당시 중국 공산당 홍군은 중국 국민당과 일본 극동군에 대항하여 게릴라 전술을 펼쳤다고 합니다. 중국 공산당의 게릴라 전술은 마오쩌둥이 계획하여 실행한 전술로 대체적으로 산악지대와 땅굴을 파서 실행하는 전술이라고 하는데요. 이 때문에 중국 공산당은 제1차 국공내전 당시 중국 국민당의 탄압으로부터 지하에서 생활하는 생활도 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한국전쟁 발발 이후 한국전쟁에 참전한 중공군은 포위전술을 포함하여 게릴라 전술을 즐겨 사용했다고 합니다. 이 때문에 미군과 연합군은 중공군의 전술에 밀려 후퇴할 수 밖에 없었다고 하는데.. 밀리터리 2018. 1. 7.
북한이라는 이름의 명칭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북한은 1945년 8월 15일 일제 해방 이후 한반도 이북에 설립 된 불법단체입니다. 또한 핵 실험을 통해 국제사회를 상대로 도발을 감행하고 있는 불법단체이기도 한데요. 북한이라는 이름의 명칭은 어떻게 생기게 되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북한이라는 이름의 명칭은 소련군 소장을 지낸 '니콜라이 게오르기예비치 레베데프'라는 사람이 결정해주었다고 합니다. '니콜라이 게오르기예비치 레베데프'는 소련군 소장이기 전에 소련 제25군 정치위원이었기 때문에 당시 어느정도 파워가 있었다고 하는데요. '니콜라이 게오르기예비치 레베데프'는 김일성이 소련군 장교 시절부터 김일성을 가르쳤던 인물로 평가되고 있는 인물입니다. 레베데프의 회고록에 의하면 1945년 10월 14일 김일성이 처음 시민들 앞에서 연설을 했을 당시 그.. 밀리터리 2018. 1.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