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밀리터리615 북한 김정은 '암살작전'에 투입 될 한미연합군의 특수부대 2개 미국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로 인해 미국은 한미연합 주제로 '김정은 암살작전' 계획을 수립했다고 합니다. 또한 북한 김정은은 북한의 3대 독재자로 핵 무기 실험을 감행하여 국제사회를 상대로 도발을 지속적으로 감행하고 있는 상황인데요. 북한 김정은이 언제까지 조선중앙티비를 통해 웃고 있는 모습을 전 세계에 보여줄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한미연합군의 주제로 계획 된 '김정은 참수 작전'에 투입 될 한미연합 특수부대 2개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네이비 씰 6팀 데브그루 네이비 씰 6팀 데브그루는 미 해군 특수부대 네이비 씰을 구성하는 팀 중에서도 '최정예'요원들로만 구성되어 있는 팀입니다. 또한 네이비 씰 6팀 데브그루는 네이비 씰에 부여 된 특수임무 중에서도 가장 난이도가 높은 임무에만 .. 밀리터리 2018. 1. 3. 더보기 ›› 신라가 삼국통일 이후 당나라를 상대로 승리할 수 있었던 이유 신라는 당나라와의 군사동맹을 통해 백제를 멸망시킨 후 당나라와의 협공을 통해 고구려를 멸망시켰습니다. 하지만 당나라는 신라에게 주기로 약속한 땅을 주지 않자 신라는 당나라에 선전포고를 하게 되었는데요. 신라가 삼국통일 이후 당나라를 상대로 승리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현대 역사전문가들은 고구려 멸망 이후 신라는 당나라를 상대할 수 있는 국력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고 보고 있다고 합니다. 신라는 당시 현재의 경상도 일대를 통치했고 백제 멸명 이후 지속적인 부흥운동으로 인해 안정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하는데요. 이러한 부분에 있어서 당나라는 중국 대륙을 통치하던 왕조국가였고 어느정도 안정기에 접어들었기 때문에 신라는 당시 당나라를 상대로 전쟁을 치룰 만한 능력을 가지고 있지 못했.. 밀리터리 2018. 1. 3. 더보기 ›› 북한의 수도는 어떻게 '평양'이 된 것일까? 북한은 한반도 이북에 있는 지역을 말하는 단어로 한반도 이북을 점령한 불법단체가 지정한 북한의 수도는 '평양'입니다. 북한의 수도가 '평양'이 된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북한의 형식적인 수도는 원래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이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북한의 의도와는 달리 북한의 수도 '평양'은 소련군 장성에 의해 결정되었다고 합니다. 평양을 북한의 수도로 결정한 인물은 소련군 제25군 사령관 이반 미하일로비치 치스챠코프라는 상장이 내린 결정이었다고 합니다. 2차세계대전 종전 이후 한반도 이북에 진주한 소련군 상장 치스챠코프는 제1극동전역사령관이었던 키릴메레츠코프 소련 원수의 부름을 받았다고 합니다. 그리고 제1극동전역사령관 키릴메레츠코프는 치스챠코프에게 제25군의 사령부를 평양과 함경.. 밀리터리 2018. 1. 3. 더보기 ›› 일본인들이 말하는 2차대전 당시 일본군 3대오물 (feat.대한민국의 숨겨진 국가유공자) 2차세계대전 당시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제국의 패망을 앞당긴 일제의 고위급 장성급 3명을 묶어서 현대 일본인들은 그들을 삼대오물이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일본의 우익성향의 네티즌들 역시 이들을 옹호해주거나 방어해주지 않는다고 하는데요. 국가 수뇌부가 무능하면 나라가 어떻게 바뀌는지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고 할 수 있다고 합니다. 무타구치 렌야 무타구치 렌야는 일제의 장군으로 도미나가 교지, 츠지 마사노부와 함께 무능함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인물이라고 합니다. 무타구치 렌야는 유명한 희대의 팀킬인 임팔 작전 등으로 일본군 수 만 단위를 팀 킬 시킨 역사에 길이 남을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중 하나입니다. 무타구치 렌야는 일본군 지휘관답게 수 많은 실패에도 끝까지 책임을 지지 않고 요직에 있었다고 하는데요. 무타구치.. 밀리터리 2018. 1. 1. 더보기 ›› 필리핀에서 미군이 철수 한 뒤 필리핀이 당한 수모 필리핀은 동남아시아에 있는 국가로 한 때 미국으로부터 안보지원을 받았던 국가라고 합니다. 특히 필리핀은 미국으로 안보지원을 받았기 때문에 미군이 필리핀에 주둔하고 있었다고 하는데요. 필리핀에서 미군을 철수시킨 필리핀의 최후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필리핀의 경우 필리핀-미국 간의 방위협정에 의거하여 미군이 주둔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1991년 필리핀과 미군의 방위협정이 만료됨에 따라 미군은 철수를 결정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미군은 1992년 필리핀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은 전부 본국으로 소환하면서 주필미군은 완전히 필리핀에서 철수하게 되었습니다. 미군이 철수한 이후 필리핀은 51억 달러의 규모를 투자하여 필리핀군 현대화 계획을 세웠지만 경제난으로 포기했다고 합니다. 또한 1992년 필리핀에서 미군.. 밀리터리 2018. 1. 1.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 43 44 45 46 47 48 49 ··· 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