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밀리터리615 한민족 최강의 소드마스터 척준경의 비밀 7가지 척준경은 한국 역사상 가장 강력한 무인이라는 평가가 대부분인 인물입니다. 하지만 여러가지 문제로 인해 척준경 장군의 드라마를 제작하지 못한다고 하는데요. 드라마보다 더 드라마틱했던 척준경의 이야기를 알려드리겠습니다. 고려사 반역열전 척준경 장군은 고려 인종으로부터 죄를 사면 받았지만 고려사 반역열전에 이름이 기록되어 있는 인물이라고 하는데요.대부분의 한국인들은 척준경 장군이 이자겸과 손을 잡고 반란을 일으키고 최후를 맞이했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자겸을 제거하고 최고 권력자까지 올라갔지만 결국 반역자로 기록되어 있다고 하네요. 여진전쟁 이후 윤관의 여진정벌에 참여한 척준경은 혼혈단신으로 여진족을 박살내는 쾌거를 이룩해 낸 1인 병기입니다. 금나라를 세운 여진족의 개국공신들은 여진전쟁에서 척준경.. 밀리터리 2017. 12. 24. 더보기 ›› 일본 도시 하나는 충분히 날려버릴 수 있는 국군 전력 일본의 도시 하나 쯤은 초토화 시킬 수 있는 전력은 바로 대한민국 육군 소속의 '미사일 사령부' 입니다. 대한민국 육군 소속의 '미사일 사령부' 전력으로 일본의 도시 하나 쯤은 초토화 시킬 수 있는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대한민국 육군의 '미사일 사령부'는 기존 유도탄 사령부에서 개편되어 창설된 대한민국 육군의 핵심 부대입니다. 또한 미사일 사령부는 대한민국의 필살병기라고 할 수 있는 현무 미사일을 실질적으로 운용하고 있는 부대인데요. 사실 대한민국 육군의 미사일 사령부는 북한의 포병 전력에 대항하기 위해 창설된 부대입니다. 때문에 대한민국 국군에서도 가장 정보가 많이 공개되지 않은 부대라고도 할 수 있는데요. 실제로 대한민국에서 개발한 현무3-순항미사일은 사정거리가 1,500km로 중국 본토를.. 밀리터리 2017. 12. 24. 더보기 ›› 고려 말기에 최영 장군이 요동정벌을 고집한 이유 3가지 여말선초 당시 고려의 영웅은 최영 장군, 이성계 장군이었습니다. 하지만 고려 우왕과 최영 장군은 요동정벌을 추진하기 시작했는데요. 요동정벌 추진으로 인해 고려군은 위화도에서 회군하게 되면서 개경전투를 통해 개경을 함락하게 되었습니다. 위화도 회군이라는 사건을 만든 요동정벌을 고집했던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려에 대한 명나라의 태도 변화 여말선초 당시 북원과 고려가 연대할 가능성을 보고 명나라는 고려에 대한 친화정책을 펼쳤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고려는 북원의 편을 들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당시 고려는 원나라의 세력 자체가 고려에 있었기 때문에 명나라에 비협조적이었다고 하네요. 나하추의 투항 주원장과 대륙을 놓고 전쟁을 벌였던 나하추가 결국 명나라와의 전쟁에서 패배하면서 명나라에 투항을 하게.. 밀리터리 2017. 12. 23. 더보기 ›› 일본 열도를 공포에 떨게 만든 러시아 전략 폭격기의 정체 일본을 벌벌 떨게 만들었던 러시아의 전략 폭격기의 정체는 NATO 코드명으로 Tu-95 Bear라고 합니다. 러시아는 냉전시절에 개발 된 폭격기지만 현재까지도 러시아에서도 2040년까지 운용 할것으로 예정되어 있다고 합니다. Tu-95전투기는 냉전시절 미 공군의 B-29 폭격기가 소련 영토에 추락하였고 소련은 추락한 B-29 폭격기 구조와 비슷하게 Tu-95를 설계한 설계도를 바탕으로 제작했다고 합니다. 어떻게 보면 Tu-95는 미국의 기술이 접목 된 러시아 냉전시절 개발 된 장거리 폭격기라고 할 수 있다고 합니다. 특히 Tu-95의 엔진음은 미칠정도로 시끄럽다는 것이 단점이라고 하는데요. 심지어 Tu-95 엔진음 때문에 발작을 일으킨 사람도 있기 때문에 웬만한 사람은 Tu-95의 엔진음을 견딜 수 없다.. 밀리터리 2017. 12. 23. 더보기 ›› 중공군 3개사단을 박살낸 국군 6사단의 용문산전투 용문산 전투는 6.25 한국전쟁 당시 1951년 용문산과 화천 저수지 일대에서 한국군 제6보병사단이 중공군 3개 사단(63군 187사단, 188사단, 189사단)을 상대로 대승을 거둔 전투를 말한다 용문산 전투 이전 상황 한국전쟁에서 수십만의 중공군이 참여하자 한국군과 UN군은 밀려서 후퇴하기 시작하였고 중공군은 국군이 후퇴하는 것을 뒤쫓아 강력한 공격을 하게 되는데 중부전선에서 중공군의 공격을 직면하게 된 부대가 당시 장도영이 사단장으로 지휘하던 한국군 6사단이었으며 한국군 6사단은 개전 초기에 춘천-홍천 전투에서 북한군을 저지한 공을 인정받아 유명세를 떨친 사단이었으나 불과 한달 전에 중공군의 4월 공세에 사단 전체가 줄행랑을 치면서 패전했고 결국 미군 수뇌부부터 병사들까지 비웃음을 당하는 존재로 전.. 밀리터리 2017. 12. 22.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 48 49 50 51 52 53 54 ··· 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