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밀리터리615 중국인들이 일본을 다루는 방법 일본은 중국과의 사이가 그렇게 좋지 많은 않은 국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본과 중국은 역사적으로 전쟁을 치룬 경험이 있다고 할 수 있는데요. 현대 중국인들이 일본을 다루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중국인들이 일본을 다루는 방법을 소개해드리 전에 중국인들의 반일감정이 극에 다른 센카쿠 열도 분쟁에 대해 알 필요가 있다고 합니다. 특히 센카쿠라는 작은 섬은 일본과 중국이 서로 자신의 영토라고 주장하며 영토분쟁을 하고 있는 지역인데요. 특히 2012년 9월 11일 일본이 센카쿠 열도의 3개 섬을 개인 소유자에게 20억 5천 만엔을 주고 구입하여 일본 영토로 정식 편입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 소식이 중국 공영방송 CCTV에 의해 중국 전역에 방송되자 안그래도 반일감정이 있는 중국인들의 .. 밀리터리 2017. 12. 18. 더보기 ›› 한국전쟁 발발 후 국군이 한강에서 7일을 버틸 수 있었던 이유 1950년 6월 25일 새벽 북한 김일성은 북한군을 동원하여 남한을 적화시킬 목적으로 불법침공했습니다. 또한 소련으로부터 지원받은 소련제 탱크를 앞세워 남한으로 밀고 내려왔는데요. 특히 북한군 일부는 중국 국공내전을 경험했던 베테랑 병사들이었고 중국 기밀문서에도 한국전쟁에 참여한 북한군 일부는 조선족이라는 기록이 존재하고 있다고 합니다. 즉, 북한은 소련으로부터 무기를 지원받았으며 중국으로부터 병력을 지원받은 셈인데요. 이러한 철저한 전쟁 준비를 한 북한군이 내려오자 국군은 북한군에게 상대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후퇴를 감행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결국 서울이 함락당할 위기에 처하자 국군 수뇌부는 한강 다리를 폭파시켜 북한의 진격을 지연시킬 목적이었고 결국 폭파시켰는데요. 하지만 전쟁 발발 이후 .. 밀리터리 2017. 12. 17. 더보기 ›› 세계 각 국에서 대한민국을 항공모함 보유국으로 보는 이유 대한민국 해군은 전 세계 해군 군사력 10위로 동북아시아에서는 약한 군사력이지만 전 세계적으로 보면 강한 해군입니다. 또한 전 세계에서 대한민국을 항공모함을 1개 보유한 보유국으로 보고 있는데요. 전 세계에서 무슨 이유 때문에 대한민국을 항공모함 보유국으로 보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전 세계에서 대한민국을 항공모함 보유국으로 보는 이유는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고 있는 독도급 강습상륙함 때문이라고 합니다. 우리 해군의 독도급 상륙강슴함은 명실상부 대한민국 해군을 총지휘하는 지휘함이자 상륙함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또한 대한민국의 독도급 강습상륙함은 최대 8대까지 헬기를 이륙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독도급 상륙강습함의 승조원은 330명으로 사실 해병대 상륙함으로 건조 된 기함이라고 하는데요. 독도급 강습상.. 밀리터리 2017. 12. 17. 더보기 ›› 대한민국 국군이 국제사회로부터 호평받는 이유 대한민국 국군은 전 세계 11위의 전력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는 7위 정도의 전투력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대한민국 국군이 전 세계적으로 호평받는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대한민국 국군의 성장에 있어서 한국전쟁과 냉전시대를 절대로 빼놓을 수가 없다고 합니다. 또한 대한민국이 위치한 한반도는 아직도 전쟁 중인 지역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요.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 발발 당시 대한민국은 신생국가로써 행정 체계를 비롯하여 국군 시스템 조차 제대로 구성되어 있지 않았다고 합니다. 또한 한국전쟁 발발 초기에는 인민군이 밀고 내려오는 탱크에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 밖에 없었는데요. 때문에 한국전쟁 발발 초기 대한민국 육군 장병들은 다량의 수류탄을 몸에 두르고 탱크에 몸을 던져 탱크를 폭파시켰습니다. .. 밀리터리 2017. 12. 17. 더보기 ›› '칠천량 해전' 이후 조선 수군이 거북선을 추가 건조하지 않은 이유 거북선은 현대 한국인들에게 한국 역사 상 가장 위대한 발명품 중 하나로 손꼽히는 전략 병기입니다. 이러한 위대한 발명품으로 평가받는 거북선을 이순신 장군이 '칠천량 해전' 이후 추가 건조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칠천량 해전'은 임진왜란 당시 조선측 최악의 흑역사로 평가받는 해전입니다. 또한 '칠천량 해전'으로 인해 조선 수군은 전투력을 상실하는 결과를 얻게 되는데요. '칠천량 해전' 이후 이순신 장군은 조선 조정에 의해 관직이 복원되었고 2차 백의종군 이후 복직 된 이순신 장군이 치룬 전투가 바로 '명량해전'입니다. 또한 '명량해전'에서 일본군의 우회로를 차단하면서 조선 수군은 남해안을 재장악하고 조선 수군 재건의 기반을 만들게 되는데요. 하지만 조선 수군은 백성들의 도움과 흩어진 병사들.. 밀리터리 2017. 12. 16.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 51 52 53 54 55 56 57 ··· 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