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북한117

중국 공산당 수뇌부의 세대교체가 이루어진다면 북한은? 중국 공산당은 현재 1950년대부터 1970년대 출신 핵심 당원을 중심으로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다면 중국 공산당 수뇌부의 다음 세대는 1970년대부터 1990년대 초반 출생자들이라고 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1970년대부터 1990대 초반에 태어난 중국 공산당원들의 대부분은 해외의 유학을 하거나 명문대학을 나온 엘리트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합니다. 또한 중국은 개혁개방 이후 부모세대들은 자식세대들이 배워야 성공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유학을 비롯한 각 종 교육을 시켰다고 할 수 있는데요. 중국의 대학생들은 개혁개방 이후 서양 문물을 쉽게 접할 수 있기 때문에 해외소식을 빠르게 접할 수 있다고 합니다. 때문에 중국 대학생들은 중국 매체에서 보도하는 북한에 대한 소식 뿐만 아니라 해외 매.. 밀리터리 2017. 10. 18.
중국 시진핑 주석이 북한 김정은을 싫어하는 진짜 이유 중국 시진핑 주석은 국가주석으로 취임 한 후 이전 중국 국가주석들처럼 북한을 방문하지 않았습니다. 때문에 중국 시진핑 주석과 북한 김정은은 서로에 대한 안면식이 없다고 할 수 있는데요. 중국 시진핑 주석이 북한 김정은을 싫어하는 진짜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은 국가 주석으로 선출되기 전부터 한국과 좋은 관계를 유지했습니다. 또한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은 북한 김정은을 만나진 않아도 대한민국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한다고 하면 국빈으로써 대접하기도 했는데요. 중국 시진핑 국가 주석 취임 이후 중국 시진핑 주석은 직접 북한을 방문하지 않고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대의원을 보내는 등의 조치를 취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중국은 최근 외교부 차관급을 북한에 보내며 중국과 북한의 관계는 중요하.. 밀리터리 2017. 10. 18.
국제사회가 북한 망명정부를 공식적으로 인정하게 된다면? 북한 탈북자 세력은 북한 망명정부를 설립하고 국제사회로부터 인정받으려 하고 있습니다. 또한 故황장엽 노동당 전 비서는 북한 망명정부 설립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려고 했지만 故김대중 전 대통령의 만류로 진행하지 않았는데요. 국제사회가 북한 망명정부를 공식적으로 인정하게 된다면 어떻게 될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만약 국제사회가 북한 망명정부를 공식적인 북한 정부로 인정한다면 북한은 국제사회로부터 불법점거조직으로 낙인찍히게 된다고 합니다. 또한 중국 역시도 국제사회의 결정에 따라 북한에서 탈북하는 북한 주민들을 난민으로 인정할 수 밖에 없는데요. 만약 중국이 북한 망명정부를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탈북민들을 잡아다 북송시킨다면 국제사회의 엄청난 비판을 받을 것이라고 합니다. 또한 북한에서 운용하고 있는 수용소.. 밀리터리 2017. 10. 17.
북한 김정은 정권이 들어서자 탈북자가 급감소하는 이유 대한민국 국정원 발표에 의하면 김정은이 북한 지도자로 취임한 이후 탈북자가 감소하고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북한 김정은 정권이 들어서자 탈북자가 급감소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북한을 탈출하여 제3국이나 대한민국으로 망명하는 북한 주민에 대한 공식적인 통계는 아직 잡혀 있지 않다고 합니다. 하지만 1995년부터 1998년까지 발생한 '고난의 행군' 이후 북한을 탈출하여 대한민국에 입국한 탈북자는 3만 명이 넘었다고 하는데요. 북한 김정은 정권이 들어서자 북한 당국은 탈북하는 주민들을 막기 위해 중국-북한 간 국경에 대한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중국-북한 국경에 철조망을 설치하여 넘어가게 하지 못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심지어 북한 당국은 중국으로 넘어가려는 주민을 보면 '.. 밀리터리 2017. 10. 17.
북한 인민군의 평균신장이 150cm인 가장 결정적인 이유 가끔 언론에서 등장하는 북한 인민군들을 보면 대체적으로 외소하고 키가 작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판문점에서 국군 헌병 병사와 북한 인민군 병사와의 사진을 비교해보면 북한 인민군 병사의 키가 굉장히 작다고 볼 수 있는데요. 북한 인민군 평균신장이 150cm인 가장 결정적인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북한 인민군 병사들의 평균신장이 작은 것은 1995년부터 1998년까지 발생한 '고난의 행군' 때문이라고 합니다. 또한 북한에서는 1990년 대들은 대체적으로 발육부진 세대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또한 '고난의 행군'으로 인해 북한 대부분의 10대 20대들은 지나친 영향결핍으로 인해 평생 장애를 가지고 살아갈 정도라고 합니다. 즉, 현재 북한 인민군으로 군 복무를 하고 있는 병사들은 '고난의 행군.. 밀리터리 2017. 10.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