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북한117 북한이 국제사회의 압박에도 굴하지 않는 북한의 전략 북한 김정일 사망 이후 북한을 통치하고 있는 김정은은 국제사회의 압박과 미국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국제사회를 대상으로 도발을 감행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국제사회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마이웨이'를 시전하고 있는데요. 북한이 국제사회의 압박에도 굴하지 않는 북한의 전략을 분석해보았습니다. 북한은 6차 핵실험을 통해 폭팔 능력을 확인했고 폭팔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서울에 핵 폭탄이 터지면 수도권 인구 대부분이 사망한다는 결론을 내리기도 했습니다. 또한 북한은 6차 핵실험 발사 직전 북한이 개발하고 있는 수소폭탄을 공개하면서 미국 본토를 타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도 했는데요. 특히 북한은 6차 핵실험 이후 북한의 ICBM(대륙간 탄도미사일)에 핵 탄두 장착 실험이 성공적이었다는 발표도 하기.. 밀리터리 2017. 9. 11. 더보기 ›› 미국이 북한을 통제하려면 이용해야하는 유일한 국가 아시다시피 북한을 유일하게 통제할 수 있는 국가는 바로 중국입니다. 또한 북한에서 사용되는 유류의 대부분은 중국으로부터 지원받은 유류라고 하는데요. 또한 북한의 외화벌이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중국과의 교류라고 합니다. 중국은 개혁개방을 통해 경제대국으로 성장하면서 동북아의 최강자의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또한 일각에서는 중국이 망하지 않는 한 북한도 망하지 않을 것이라는 이야기가 많이 돌아다니고 있는데요. 중국과 북한은 한국전쟁 이후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하면서 동맹(혈맹)의 사이에 있다고 합니다. 또한 한국전쟁 당시 현재의 한반도를 형성한 것이 바로 중국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최근 중국이 유엔연합 대북제재 결의안에 찬성하면서 유류공급을 중단하는가 싶더니 최근에 다시 재공급하면서 중국.. 밀리터리 2017. 9. 6. 더보기 ›› 북한을 패망시킬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시나리오 북한은 이상하게도 멸망한 것 같은데 멸망하지 않고 유지되고 있는 불법단체입니다. 또한 중국은 북한에 유류를 공급하면서 북한이라는 시한 폭탄을 움직이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요. 북한을 패망시킬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시나리오에 대해 개인적인 의견을 소개해볼까합니다. 북한은 6차 핵실험 당시 북한이 개발한 수소폭탄을 북한 매체를 통해 보여주면서 자신들의 핵 능력을 과시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또한 북한 6차 핵실험 당시 중국은 푸젠성에서 개최한 'BRICs' 정상회담을 하고 있는 상황이었는데요. 'BRICs' 정상회담 당시 북한이 6차 핵실험을 감행했고 중국은 난감해했지만 별다른 성명을 발표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중국 수뇌부는 적절한 조치를 취하겠다는 공식 발표만하고 별 다른 발표를 하지 않았다고 .. 밀리터리 2017. 9. 5. 더보기 ›› 국제사회의 제재에도 북한이 6차 핵실험을 할 수 있었던 이유 우려하고 우려하던 북한 6차 핵실험이 실행되자 국제사회는 강력한 대북제재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북한 핵 실험에 대한 제재는 오래 전부터 실행되어오던 것인데요. 국제사회의 제재에도 북한이 6차 핵실험을 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언론의 보도에 의하면 6차 핵실험 당일 새벽에 북한 김정은은 6차 핵실험에 대한 서명을 통해 실질적으로 핵 실험에 대한 승인을 했다고 합니다. 또한 북한은 매체를 통해 자신들이 만든 수소폭탄을 공개하면서 미국 본토를 타격할 수 있다는 것을 대외적으로 보여주기도했는데요. 하지만 북한은 중국과 미국이 보란듯이 핵 실험을 감행했지만 중국은 공식적인 내용에 대해 발표하지 않았으며 기존 미국의 북한에 대한 유류공급 중단 요구에도 중단하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전.. 밀리터리 2017. 9. 4. 더보기 ›› 북한 6차 핵실험에 대한 주변국의 반응을 알아보자 북한이 6차 핵실험을 감행했고 북한 핵 실험이 주변국들에게 알려지자 주변국들의 반응은 실시간으로 보도되기도 했는데요. 북한 6차 핵 실험에 대한 주변국들의 반응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한민국 문재인 대통령은 북한 6차 핵실험에 관련하여 대통령 주재 NSC 전체회의를 긴급 소집했습니다. 또한 NSC 전체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강력한 대북감시과 전군 경계태세를 요구했고 합참은 전군에 대한 경계태세를 격상했습니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한 군 수뇌부는 미국 수뇌부와의 전화통화를 통해 강력한 대북제재에 대해 공감했다고 보도되었는데요. 대한민국 정부는 북한의 6차 핵실험에 관련하여 기존의 '도발에 대한 강력한 제재'를 포함한 '대화'를 유지한다는 입장을 유지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미국 미국은 북한 6.. 밀리터리 2017. 9. 3.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