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북한117 북한의 지속되는 미사일 발사는 의도적인 것일까? 북한은 6차 핵실험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국제사회의 6차 핵실험 금지권고와 함께 대북제재를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북한은 국제사회의 제재에도 아랑곳 하지 않고 미사일 실험 발사를 계속하고 있는 상황인데요. 과연 북한의 지속되는 미사일 발사는 의도적인 것일까?라는 부분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종료된 한미연합의 을지 프리덤 가디언 훈련이 큰 일없이 종료되었습니다. 하지만 을지 프리덤 가디언 훈련 기간 도중 북한은 2차례 미사일을 발사하면서 무력시위를 했는데요. 심지어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은 일본 열도의 방공식별구역에 떨어졌고 북태평양에 미사일이 떨어지면서 위력을 과시하면서 미국까지 타격 할 가능성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런데 북한이 한미연합 훈련 이전에도 지속적으로 미사일 발사를 했듯이 무슨 이유 .. 밀리터리 2017. 9. 2. 더보기 ›› 한국 vs 북한 군사력에 있어서 한국군이 우위를 차지할 수 밖에 없는 이유 한반도는 한국전쟁 휴전 이후 전쟁지역으로 세계에서 유일하게 분단되어 있는 지역입니다. 실질적으로 군사적 대치를 하고 있는 당사국이라고 할 수 있는 한국과 북한의 관계에서 대한민국 군사력이 우위를 차지 할 수 밖에 없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대한민국 국군은 세계 11위의 전력을 가지고 있으며 육군력은 세계 4위에 달하는 군사강국입니다. 또한 방산비리만 존재하지 않는다면 식량 보급 및 유류 지급에 대해서는 문제가 될 것이 전혀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북한군은 인원 수만 많고 보급체계 때문에 군인들이 주민들의 식량을 빼앗거나 보호비를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합니다. 특히 북한군은 식량 보급이 제대로 되지 않기 때문에 대체적으로 키가 작은 편이라고 합니다. 즉, 쉽게 보면 육군력에 있어서 거인과 .. 밀리터리 2017. 8. 21. 더보기 ›› 무식하게 병력 수만 많은 북한 특수부대 규모에 대해 알아보자 2017년 4월 15일 김일성 생일 105주년에 열병식에 북한 특수부대는 신형 전투복을 입고 열병식에 참여했습니다. 무식하게 병력 수만 많은 북한 특수부대의 규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한민국 국방부 발표와 더불어 미 국방부의 발표에 의하면 북한 특수부대는 보통 12만 명에서 20만 명정도로 추산된다고 합니다. 특히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부대로는 미국 티어1급에 해당하는 1개 특수작전대대, 항공육전여단 8개, 해상저격여단 4개, 경보병여단 9개가 있는데요. 또한 추가로 확인 된 특수부대는 북한군 11군단 소속의 경보병대대 35개, 특수기동, 지원임무를 하는 혼성여단 4개 저격여단 4개, 핵배낭 여단 등이 있다고 합니다. 북한군의 특수부대는 항공여단, 저격여단, 경보병여단, 정찰여단 등으로 다양하지만 .. 밀리터리 2017. 8. 11. 더보기 ›› 대한민국이 북한 핵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법 최근 북한이 미국의 괌을 공격한다고 허세를 부리면서 미국을 자극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북한 핵 무장이 현실화되어가면서 대한민국 역시 핵을 무장해야한다는 여론이 거세지고 있는 상황인데요. 대한민국은 현실적으로 핵 무장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해결해야하는 방법을 소개해볼까합니다. 대한민국은 1953년 한국전쟁 종전 이후 이승만 정권의 핵 개발 추진을 진행했으며 박정희 정권에 들어 본격적으로 비밀리에 착수했다고 합니다. 또한 박정희 정권 당시 대한민국은 비밀리에 88%가량 정도 핵 개발에 대해 완성했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미국의 군사전문가는 대한민국은 준핵보유국으로 대한민국이 국제사회의 규제가 없다면 3개월 안에 북한을 능가하는 핵 무기를 개발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한민국은 다량의 원.. 밀리터리 2017. 8. 11. 더보기 ›› 북한 핵 미사일 폐기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 5가지 북한은 6차 핵실험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전 세계 언론과 국가들은 북한의 6차 핵실험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북한은 국제사회의 경제보복에도 핵 미사일 보유을 포기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북한 핵 미사일 폐기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6자 회담 6자 회담은 북한과의 핵 개발 협상에 있어서 가장 많이 진행 된 것으로 북한 핵 미사일에 대해 근, 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국가들이 참여한다고 합니다. 특히 대한민국 정부는 북한에게 6자 회담에 참여하라는 요구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북한은 6자 회담에 참여 할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6자 회담은 북한 핵 폐기에 대해 가장 많이 진행되었지만 가장 효과가 없는 회담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중국에 .. 밀리터리 2017. 8. 2.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