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북한117

북한 독재자 김씨 3부자의 세대별 정책 북한은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으로 이어지는 왕조국가로 많은 사람들이 평가하고 있습니다. 한국전쟁 이후 김일성 시대 이후로 북한에서 실행했던 정책들에 대해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북한 김씨 3부자의 세대별 정책 김일성 (당정 정치) 북한 1대 독재자 김일성은 북한 노동당을 중심으로 북한을 통치하였다고 대체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김일성은 소련의 이오시프 스탈린, 중국의 마오쩌둥과 같은 사회주의권 1세대 독재자에 해당 하는 인물이기도 하며 북한 내부를 장악하고 자신의 우상화를 비롯하여 많은 잘못된 행동에 있어서 비판적인 평가가 상당히 많은 인물입니다. 김일성의 경우에는 중국 공산당 주요급 인사들과 관계를 유지하거나 경계하기도 하였는데요. 김일성이 북한을 통치하던 북한의 경우에는 남한보다 잘 살았다고 알려져 .. 밀리터리 2017. 4. 29.
한국인이 안보문제에 민감한 이유 5가지 북한은 현재 핵 무기로 인해 국제연합을 포함하여 미국으로부터 제재를 당하거나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한국전쟁 이후 현재까지 한국인이 안보문제에 민감한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재래식 전력 북한은 현재 한국전쟁 당시 사용했던 전력을 포함하여 개량형 전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북한은 대한민국과 비교하여 성능 자체가 떨어지는 전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실제로 운용이 가능한 전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북한이 한반도에 전쟁을 생각하게 된다면 제3국을 포함하여 중국으로부터 원유를 구매하기 시작하여 전력을 운용할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동원가능한 예비전력 북한은 현재 전 세계에서 전시상황에 동원할 수 있는 병력이 가장 많다고 합니다. 북한은 전시상황에서 동원할 수 있는 병력이 약 1천 만명이라고 하는데.. 밀리터리 2017. 4. 26.
북한 주민들의 해방을 위해 북한 민주화에 앞장섰던 인물 1945년 2차세계대전은 일제의 무조건 항복 선언으로 인해 한반도는 일제로부터 해방하였습니다. 이후 북한 지역에는 소련군정이 들어서면서 북한 단독 정부를 수립하였는데요. 북한에서 발표된 연설문에 대한 폭로를 하면서 북한 민주화 및 평화통일 자문활동을 했던 인물을 소개해드릴까합니다. 북한 해방재단 정상진 이사장 (1918년 ~ 2013년 6월 15일) 정상진 이사장은 2차세계대전 당시 소련군 태평양 함대 직속 해병대 소속으로 한반도 상륙작전에 참전한 독립운동가입니다. 또한 해방 이후 북한의 문화선전성 제1부상을 지낸 대표적인 소련파 인물이라고 하는데요. 정상진 이사장은 1918년 현재의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출생하였다고 합니다. 정상진은 소련의 체제를 믿지 않게 된 이유에 대해 소개해주기도 하였는데요... 밀리터리 2017. 4. 23.
한반도 평화통일 시나리오 5가지 한반도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지역으로 꼽히고 있는 지역입니다. 또한 북한의 붕괴론 역시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한반도 평화통일 시나리오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북한 내부의 계몽운동 최근 태영호 전 공사의 인터뷰를 포함하여 많은 탈북민들은 북한 내부 주민들의 봉기가 북한 김정은 정권을 무너트릴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를 포함한 유연연합에서 북한 내부의 첩보 활동을 통해 북한 주민들의 계몽운동을 전개한다면 북한 김정은 정권을 무너질 것이라는 판단입니다. 급변상황으로 인한 김정은의 중국 망명 만약 북한 내부에서 군 쿠데타 또는 주민들의 봉기로 인해 김정은 정권이 무너지게 되면 김정은은 중국으로 망명을 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은데요. 한국전쟁 당시에도 김일성은 중국으로 망명을 시도하고 중국.. 밀리터리 2017. 4. 23.
형편없는 북한의 재래식 공군 전투기 8종 북한은 동아시아 한반도 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에서 가장 가까우며 휴전선이라는 국경을 맞대고 휴전상황이다. 하지만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북한을 국가로 인정하고 있지 않으며 대한민국의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지방을 뜻한다. 북한의 전투기들 MIG-23 1967년 소련이 생산하였으며 1980년대에는 북한이 도입한 전투기로 순간 최대속도는 마하2.32(2,839km/h)입니다. 조종사는 1인이 탑승하며 Gsh-23L 23mm 기관포와 최대 3,000kg의 미사일과 폭탄을 탑재할 수 있다고 합니다. 현재 북한군이 56기를 보유중이며 최근 몇 년간 조종실수와 기체노화로 여러번 추락사고가 발생했던 기종입니다. 연평도 해안포격 사태 당시 출동하여 대한민국 공군 F-15K, KF-16과 대치하기도 했습니다. A-.. 밀리터리 2017. 4.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