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북한117

북한 붕괴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이유 북한 붕괴론은 북한이 여러 문제점들로 인해 자멸할 것이라는 이론이라고 합니다. 북한 붕괴론은 1990년를 시작으로 제기 되었다고 하는데요. 북한 전문가들이 바라본 북한 정권이 쉽게 붕괴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패전 북한이 남한을 이길 수 없는 것은 전쟁 시나리오를 통해 명확해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때문에 북한이 바보가 아닌 이상 아무런 이유 없이 남침을 감행할 이유가 없다고 할 수 있는데요. 북한 당국이 조국해방을 운운하며 남침을 실제로 감행할 경우 북한에 무슨 일이 벌어질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이 시나리오는 가능성이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 민중 운동 대체적으로 북한 출신 북한 전문가들은 북한 핵 무기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 바로 북한 내부의 쿠데타 또는 민중운동이라고 하는.. 밀리터리 2017. 5. 5.
북한 정권이 현재까지 유지될 수 있었던 이유 북한은 한국전쟁 이후 남한보다 잘 살았지만 한국의 '새마을 운동'을 통해 경제력을 추월당했습니다. 또한 북한 지역은 세계에서 가장 못사는 지역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는데요. 현재까지 북한 정권이 유지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북한 세계에서 가장 인권탄압이 심하고 화폐의 가치 자체가 없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전쟁 이후 북한은 약 63년 간 정권을 유지해오고 있습니다. 북한 정권을 현재까지 유지하게 해준 국가는 바로 중국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중국은 개혁개방을 통해 경제대국으로 성장했지만 중국은 엄연한 사회주의 국가입니다. 또한 중국은 미국을 견제할 수 있는 도구로 북한 정권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유일한 국가인데요. 중국의 경우 미국과 국경을 맞대는 것을 .. 밀리터리 2017. 5. 3.
북한이 함부로 6차 핵실험을 감행하지 못하는 이유 한반도는 4월에 한반도 위기설이라는 것이 나돌았습니다. 외신들은 북한이 6차 핵실험을 감행할 것이라는 추측을 내놓으며 보도를 했었는데요. 결국 북한은 미사일 발사 시늉만 내다가 결국 6차 핵실험은 감행하지 못했습니다. 북한은 무슨 이유 때문에 6차 핵실험을 감행하지 못했을까요? 국제사회에서 북한의 6번 째 핵실험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파키스탄은 현재 핵 보유국으로 인정받은 핵 무기를 보유한 국가입니다. 특히 파키스탄은 6번 째 핵실험을 통해 국제사회에서 핵 보유국으로 인정받게 된 것인데요. 핵 무기는 인류가 만든 최악의 무기라고 규정하고 국제사회에서 핵확산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북한 6차 핵실험은 북한의 핵무기가 완성단계에 진입했다는 신호탄으로 규정할 수 있다는 것인데요. .. 밀리터리 2017. 5. 3.
북한이 미국의 스텔스 전폭기를 두려워 하는 이유 매년 한미연합군은 한미연합을 통해 북한에 한미연합의 화력을 과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언론의 보도에 의하면 미국의 스텔스 전폭기가 북한 상공에 뜨게 되면 김정은은 지하갱도로 숨어버린다고 합니다. 무슨 이유 때문에 김정은은 미국의 스텔스 전폭기를 무서워하는 것일까요? 북한의 소식을 보도하는 외신들은 북한 역시 레이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북한 고위급 출신 북한 전문가들은 북한은 현재 미국의 스텔스 기능을 포착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고 합니다. 때문에 미국 스텔스 전폭기가 새벽에 북한 상공에 뜨게 될 경우 김정은은 지하갱도로 바로 숨어버린다고 하는데요. 북한이 스텔스 전폭기를 잡을 수 없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 폭격을 감행할 지 모르기 때문에 김정은은 지하갱도로 바로 숨어.. 밀리터리 2017. 5. 3.
북한이 붕괴할 수 있는 붕괴론 6가지 전 세계에서 북한의 붕괴론은 북한이 끔찍한 문제점들로 인해 자멸할 것이라는 전망을 말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전문가들은 20년 내지 30년 안에 북한이 망한다는 추측을 상당히 많이 내놓고 있다고 합니다. 북한 붕괴론의 6가지 가능성은 개인적인 견해로 작성된 글이며 공식적으로 발표된 글이 아님을 사전에 미리 알려드립니다. 북한 붕괴론의 6가지 가능성 미국의 선제타격 (가능성 10%) 2016년 12월에 미국 대통령 선거인단 투표가 끝나면서 미국은 다음 차기대통령으로 도널드 트럼프가 당선되었습니다. 급격히 변화되어가고 있으며 특히 도널드 트럼프는 미국의 보수당 소속으로 대통령 연설 당시 김정은과 핵무기 문제를 햄버거를 먹으면서 대화를 하겠다고 발언했습니다. 이러한 점을 보았을 때 국제사회에서 북한에 대한 핵실.. 밀리터리 2017. 4.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