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북한117

김일성이 한국전쟁 이후 북한 주둔 중국군을 쫓아낸 이유 한국전쟁 당시 북한측으로 참전했던 중공군은 남한에 주둔하고 있던 주한미군과 달리 중국으로 철수했습니다. 김일성이 한국전쟁 이후 북한에 주둔하던 중공군을 쫓아 낸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전쟁에 참전했던 중국 인민지원군은 휴전협상이 마무리 되자 1955년까지 약 80%의 병력을 본국으로 철수시켰다고 합니다. 하지만 중공군은 대략 25만 명의 병력을 북한 지역에 주둔시켰다고 하는데요. 실제로 중국 공산당 수뇌부는 한국전쟁 이후 미군이 남한에 주둔함에 따라 북한 지역에 중공군 장기주둔을 희망했다고 합니다. 또한 중국은 북한 지역의 장기주둔을 희망했기 때문에 주둔군 사령부 등과 같은 기지도 건설하고 있었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김일성이 마오쩌둥을 찾아가 중공군의 철수를 강력히 주장했고 결국 김일성의 주장을.. 밀리터리 2018. 1. 21.
중국이라는 국가가 북한을 버리지 못하는 진짜 이유 중국과 북한은 한국전쟁 이후 동맹관계로써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중국이 북한을 버리지 못하는 진짜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만약 북한 정권이 붕괴 될 경우 수 백만 명의 북한 주민이 중국으로 들어오려고 시도할 것입니다. 만약 북한이 붕괴 할 경우 북한 난민들은 중국으로 반드시 들어오려고 할 것인데요. 북한이 붕괴 될 경우 난민을 수용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지만 중국과 북한 국경 도시들이 큰 혼란을 겪을 것입니다. 즉, 북한 난민 수 백만 명이 중국 국경 도시들로 들어오게 되면 범죄, 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할 것이라는 것은 확실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즉, 북한 난민 수 십만 명이 아닌 수 백만 명의 난민이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중국 당국으로써도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려고 하는 것이죠. .. 밀리터리 2018. 1. 20.
북한의 실상를 폭로했던 역대급 탈북자 4인 전 북한 영국주재공사인 태영호 공사가 한국으로 망명하여 한국의 주민등록을 마치고 국가를 위해 일하고 있다고 합니다. 북한을 탈북하여 남한으로 북한 탈북민들이 들어오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이후라고 합니다. 북한 실태를 폭로하여 한국 사회를 놀라게 한 희대의 탈북자 4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故 황장엽 북한 노동당 전 비서 황장엽 북한 노동당 전 비서는 현재 고인이 되셨지만 황장엽 전 노동당 비서는 북한의 핵심인물로 김일성의 총애를 받던 인물이라고 합니다. 특히 황장엽 전 노동당 비서는 남한으로 망명 이후 북한 망명정부를 세우려고 했으나 김대중 전 대통령의 만류로 한국에 거주하였다고 하는데요. 황장엽 전 노동당 비서는 대한민국으로 망명한 최초의 고위급 인물이었습니다. 강명도 교수 북한 김일성 집권 당.. 밀리터리 2018. 1. 19.
북한 김씨 일가에게 더 이상 당하지만은 않는다는 북한 주민들 북한은 대한민국 헌법 상 불법단체가 점거하고 있는 지역이라고 명시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북한은 국제연합이 규정한 인권탄압국으로 평양을 제외하곤 전 지역이 낙후되어 있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최근 북한 주민들이 자체적으로 지역을 개발하거나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 합니다. 1995년부터 1998년까지 실행되었던 북한의 '고난의 행군' 당시에는 북한 주민들이 김씨 일가가 부유한 생활을 하고 있다는 것을 전혀 느끼지 못했다고 합니다. 또한 일부 북한 주민들은 김정일이 말하는 군사강국으로 가야하기 때문에 식량보급을 끊었다라고 생각했던 사람들도 일부 존재했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북한에서 실행 된 '고난의 행군'으로 인해 꽃제비(어린 거지)들을 비롯하여 굶어죽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탈북자의 숫자가 증가했다고 .. 밀리터리 2018. 1. 13.
중국에 북한을 탈출한 북한 주민이 20만 명이나 거주하고 있는 이유 북한 탈북연대의 발표에 의하면 중국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 주민의 수가 20만 명에 육박한다고 합니다. 중국에 탈북자 20만 명이나 거주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북한 주민들이 북한을 탈출하게 될 경우 2가지 선택을 해야하는데 그 중 하나는 휴전선을 넘는 것과 다른 하나는 중국 국경을 넘는 것이라고 합니다. 때문에 건너는 동안 목숨을 잃을 가능성이 높은 휴전선 루트가 아닌 중국을 통해 탈북하는 루트가 안전한 탈북 루트라고 하는데요. 하지만 북한을 탈출하여 중국으로 건너간 북한 주민 20만 명은 미망인으로써 중국에서 살고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들은 중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난민으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미망인으로 살아간다고 하는데요. 때문에 중국에서 생활하는 북한 주민들은 중국 정부가 기본적으.. 밀리터리 2018. 1.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