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북한117 북한이라는 이름의 명칭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북한은 1945년 8월 15일 일제 해방 이후 한반도 이북에 설립 된 불법단체입니다. 또한 핵 실험을 통해 국제사회를 상대로 도발을 감행하고 있는 불법단체이기도 한데요. 북한이라는 이름의 명칭은 어떻게 생기게 되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북한이라는 이름의 명칭은 소련군 소장을 지낸 '니콜라이 게오르기예비치 레베데프'라는 사람이 결정해주었다고 합니다. '니콜라이 게오르기예비치 레베데프'는 소련군 소장이기 전에 소련 제25군 정치위원이었기 때문에 당시 어느정도 파워가 있었다고 하는데요. '니콜라이 게오르기예비치 레베데프'는 김일성이 소련군 장교 시절부터 김일성을 가르쳤던 인물로 평가되고 있는 인물입니다. 레베데프의 회고록에 의하면 1945년 10월 14일 김일성이 처음 시민들 앞에서 연설을 했을 당시 그.. 밀리터리 2018. 1. 6. 더보기 ›› 북한 김정은 '암살작전'에 투입 될 한미연합군의 특수부대 2개 미국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로 인해 미국은 한미연합 주제로 '김정은 암살작전' 계획을 수립했다고 합니다. 또한 북한 김정은은 북한의 3대 독재자로 핵 무기 실험을 감행하여 국제사회를 상대로 도발을 지속적으로 감행하고 있는 상황인데요. 북한 김정은이 언제까지 조선중앙티비를 통해 웃고 있는 모습을 전 세계에 보여줄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한미연합군의 주제로 계획 된 '김정은 참수 작전'에 투입 될 한미연합 특수부대 2개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네이비 씰 6팀 데브그루 네이비 씰 6팀 데브그루는 미 해군 특수부대 네이비 씰을 구성하는 팀 중에서도 '최정예'요원들로만 구성되어 있는 팀입니다. 또한 네이비 씰 6팀 데브그루는 네이비 씰에 부여 된 특수임무 중에서도 가장 난이도가 높은 임무에만 .. 밀리터리 2018. 1. 3. 더보기 ›› 북한의 수도는 어떻게 '평양'이 된 것일까? 북한은 한반도 이북에 있는 지역을 말하는 단어로 한반도 이북을 점령한 불법단체가 지정한 북한의 수도는 '평양'입니다. 북한의 수도가 '평양'이 된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북한의 형식적인 수도는 원래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이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북한의 의도와는 달리 북한의 수도 '평양'은 소련군 장성에 의해 결정되었다고 합니다. 평양을 북한의 수도로 결정한 인물은 소련군 제25군 사령관 이반 미하일로비치 치스챠코프라는 상장이 내린 결정이었다고 합니다. 2차세계대전 종전 이후 한반도 이북에 진주한 소련군 상장 치스챠코프는 제1극동전역사령관이었던 키릴메레츠코프 소련 원수의 부름을 받았다고 합니다. 그리고 제1극동전역사령관 키릴메레츠코프는 치스챠코프에게 제25군의 사령부를 평양과 함경.. 밀리터리 2018. 1. 3. 더보기 ›› 북한이 대한민국 예비군 전력을 무서워 하는 이유 공식 통계로 보면 대한민국 예비군 장병들은 총 300만 명이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하지만 북한은 남한의 최대 전력을 예비군으로 보고 있습니다. 북한이 한국 예비군 전력을 왜 무서워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 병력의 현대화 무기로 무장이 가능 한반도가 만약 전시상황에 이르게 되면 예비군 전력이 현대화 무기로 무장이 가능 한데 이러한 점은 제대로 보급이 되지 않는 북한의 예비군과 전력차이가 엄청 나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실제로 많은 예비군 훈련소에서 현역병들 보다 예비군들이 더 잘한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예비군 전력은 현역 복무를 하면서 2년 간 보직과 주특기에 충실하였기 때문에 한국군의 최신화 무기 및 전차들을 운용 할 수 있으며 전시상황이 되면 북한의 예비전력들은 비무장 상태에.. 밀리터리 2017. 12. 31. 더보기 ›› 현재까지 알려진 북한군에게 절대적으로 없는 것 4가지 북한의 남성들은 북한 노동당에 입당하기 위해 10년이 넘는 군 생활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북한군에게 절대적으로 없는 4가지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식량 북한은 '고난의 행군'을 시작하면서 북한 주민들에게 식량 보급을 끊으면서 북한군에게 역시 식량 보급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때문에 북한군 사병들은 옥수수로 끼니를 떼우거나 식량을 도둑질해서 해결하는 부분이 있다고 하는데요. 군대에서 가장 중요한 식량이 제대로 보급되지 않기 때문에 북한 사병들은 부패에 찌들어버릴 수 밖에 없다고 합니다. 군기 현대 한국인들은 군기가 없거나 막장인 군대를 '당나라 군대'라는 식으로 묘사하기도 합니다. 특히 북한군 사병들은 군기가 없고 막장을 달리는 것은 탈북민들의 증언에 의해 공개된.. 밀리터리 2017. 12. 30.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 5 6 7 8 9 10 11 ···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