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소련11

냉전시대가 막을 내리게 된 대표적인 사건 5가지 2차세계대전 이후 초강대국으로 성장해버린 미국과 소련의 체제경쟁을 많은 전문가들은 냉전경쟁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일반인들은 이 시대를 냉전시대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김일성 사망 냉전시대에서 사회주의측 독재자들 중에서도 김일성은 상당히 오래 살았던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김일성은 1994년에 사망하면서 그의 아들 김정일이 후계를 물려받아 북한을 통치했지만 북한은 몰락의 길을 걸었습니다. 또한 실질적으로 사회주의 1세대 지도자들 가운데 가장 나중에 사망했다는 것은 굉장한 사건이었다고 할 수 있는데요. 김일성 사망으로 인해 당시 한국사회 또한 상당한 긴장을 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독일 통일 (베를린 장벽 붕괴) 동유럽의 사회주의권 국가들의 붕괴의 서막을 알리게 된 독일 통일은 유럽 전체에 엄청.. 밀리터리 2017. 5. 2.
미국의 라이벌 소련은 어떻게 붕괴 된 것일까? 소비에트 연방(소련)은 1922년 12월 30일에 건국하여 1991년 12월 26일까지 존속하였던 사회주의 ,공산주의 국가의 맹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의 해체의 주제입니다. 또한 소련은 공식적으로 1991년 12월 26일에 붕괴하게 되었고 이후 소련의 공화국 15개가 독립하였다 소련의 붕괴로 제1세계 vs 제2세계 구도의 냉전이 종료되게 되었습니다. 소련은 1991년에 이미 소련은 사실상 해체 과정을 밟고 있었으며 대다수의 공화국에서 국민투표가 연방유지가 더 높게 나왔지만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 라트비아가 이미 독립을 확정짓고 소련의 영향력으로부터 벗어나고 있는 과정을 밟고 있었다고 합니다. 이에 소련 공산당 보수파들이 고르바초프가 무르게 대응하는 것에 대해 격렬하게 반발하고 있었습니다. 하지.. 밀리터리 2017. 4. 27.
인해전술에 대한 역사적 사례 인해전술이라는 것은 한국전쟁에서 중공군이 사용하여 한국에 알려지게 되었으며 적군보다 더 많은 수의 병력을 사용하여 적을 압도적으로 제압하는 것을 인해전술이라고 하지만 대체적으로 인해전술은 적보다 많은 병력을 투입하여 아군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인해전술에 대한 역사적 사례 한국전쟁 당시 중국지원군의 인해전술 인해전술로 유명한 군대는 중국 공산당의 중화인민해방군이다. 실제로 한국전쟁 당시 연합군 사령관 맥아더 장군이 "중공군의 인해전술에 밀렸다"라고 발언하였고 물론 한국전쟁 당시 중공군의 인해전술은 구대전법이라고 하여 보병 위주의 전법을 사용했다. 한국전쟁 당시 중공군이 인해전술이지만 다른형식의 인해전술을 사용한 것은 병사들 대부분이 중국 국공내전에 참전한 이력이 있고 베테랑 병사들이었.. 밀리터리 2017. 4. 11.
미국이 전세계 초강대국인 이유 6가지 안녕하세요. 현재 미국은 초강대국으로 독보적인 위치에 있는 국가인데요. 대한민국 역시 미군은 동맹국의 자격으로 주둔하고 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강한 국가인 미국이 왜 강한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국이 전세계 초강대국인 이유 6가지 세계 최고의 정보수집력 미국은 NSA, CIA와 같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정보기관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냉전시대를 거쳐 정보수집을 상당히 중요시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현재까지 공개된 미국의 기밀문서를 살펴보면 미국은 정보수집 영역을 전세계로 규정하고 있다고 합니다. 막대한 군 예산 투입 한국인들은 미국을 천조국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미국은 천조라는 엄청난 금액을 군 예산으로 투자하는데요. 이러한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는 것은 러시아, 중국을 견제함이기도 하지만 3차.. 밀리터리 2017. 4. 5.
엄청난 사상자가 발생한 인류 역사상 최대 인해전술 1941년 6월 22일 일요일 새벽 4시, 독일군 바르바로사 작전 개시. 독일군 166개 사단 (총 병력 4,306,8000명) 야포 42,601문 전차 4,171대 전투기 4,389대 엄청난 병력을 동원한 독일군은 소련 서부 공업지대가 타격을 받으면 소련을 받을 수 없다고 판단했다. 독일의 히틀러는 노동자들은 모두 징발대상이며 파시스트들이 다가오고 있다. 소비에트 연방의 중공업 지대를 지나 우랄산맥 너머로 이전한다라고 선언했다. 소련의 공업 도시 수십 개를 지나 모든 설비와 수 백만명의 노동자들은 모두 열차에 실렸고 수천km 떨어진 우랄 산맥 근처의 황무지로 이동했다. 독일의 노동자들은 황무지 한복판에 내팽겨친 채로 얼마 되지도 않은 식량에만 의지한 채 공장을 다시 조립하고 인력을 투입하여 공장과 도로.. 밀리터리 2017. 3.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