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이성계18

이성계가 최영의 '요동정벌'을 반대했던 '사불가론'을 알아보자 여말선초 당시 고려 '우왕'의 장인이었던 '최영 장군'은 요동정벌을 추진했습니다. 하지만 이성계는 '요동정벌'을 반대했고 '요동정벌'의 반대에 대해 '사불가론'을 내세웠는데요. 이성계가 '요동정벌'의 반대에 대해 내세운 '사불가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소국(고려)가 대국(명)을 치는 것은 옳은 일이 아니다. 이성계는 최영의 '요동정벌'에 대해 당시 고려의 국왕이었던 '우왕'에게 소국이 대국을 치는 것은 옳은 일이 아니라고 이야기했다고 합니다. 현재 21세기 한반도와 중국 대륙의 지도만 보더라도 땅덩어리가 어마어마하게 차이가 나는데요. 당시 이성계가 주장했던 '소국이 대국을 치는 것은 옳은 일이 아니다.'라는 것은 주장한 것은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즉, 이성계가 이러한 주장을 한 것은.. 밀리터리 2018. 2. 12.
이성계가 최영이라는 충신을 제거한 진짜 이유 고려 말기의 명장이었던 이성계와 최영은 당대 백성들에게 영웅으로 불렸던 전설적인 인물입니다. 하지만 이성계는 '위화도 회군'을 통해 고려의 수도인 개경을 함락시켰고 정권을 잡은 이성계는 '최영'을 제거했는데요. 이성계가 최영이라는 충신을 제거한 진짜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고려 말기 고려와 명나라는 영토분쟁에 휩싸이게 되면서 당시 고려 조정의 수장이라고 할 수 있는 '문하시중' 최영에 의해 고려는 요동정벌을 추진했습니다. 그리고 고려군은 최영을 필두로 우군지휘관 '이성계', '좌군지휘관' 조민수를 임명하여 군대를 출정시켰는데요. 하지만 요동을 정벌하기 위해 출정한 공요군(공격 요동군)은 위화도 인근에서 장마를 맞이했고 식량보급을 비롯한 역병을 겪고 회군을 결정했습니다. 그리고 요동공격을 포기하고.. 밀리터리 2018. 2. 12.
한국인들이 가장 많이 아는 조선 국적을 가진 유명한 인물 6명 조선이라는 국가는 한민족이 살고 있는 한반도를 통치했던 마지막 왕조국가입니다. 또한 조선은 21세기 한반도에 살고 있는 한국인들에게도 많은 영향을 끼친 국가이기도 한데요. 한국인들이 가장 많이 아는 조선 국적을 가진 유명한 인물 6명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태조 이성계 태조 이성계는 고려 말기의 무장으로 조선을 건국한 조선의 초대국왕입니다. 또한 태조 이성계는 건국군주임에도 불구하고 조선이 망하는 그날까지 가장 많은 욕을 먹은 국왕이기도 한데요. 태조 이성계는 한국의 국사책에도 실린 조선의 주요 인물로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아는 역사적 인물입니다. 세종대왕, 이도 세종대왕은 조선의 4대 국왕으로 조선에서 태어난 오리지날 조선 국적을 가진 국왕입니다. 또한 세종대왕은 한글의 근본이되는 훈민정음을 창제하여.. 밀리터리 2018. 2. 6.
조선 건국 당시 '태조 이성계'의 최대 조력자들을 알아보자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는 제2차 요동정벌 당시 '위화도 회군'을 감행하여 고려의 실권자로 우뚝섰습니다. 그리고 이성계는 신진사대부 세력과 자신의 권력을 바탕으로 조선을 건국하게 되었는데요. 조선 건국 당시 '태조 이성계'의 최대 조력자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조선 건국 당시 '태조 이성계'의 최대 조력자들은 짐을 가지고 물건을 판매하는 '보부상'들이었다고 합니다. 이 '보부상'들은 조선 건국 이전에는 짐꾼이라는 가지고 있었던 상인들이었다고 하는데요. 조선 건국 당시 '보부상'이라고 불리던 상인들은 '위화도 회군' 당시 이성계 세력에게 군자금을 조달해주었고 군량미 등을 제공해주었다고 합니다. 즉, 인류의 역사에서 돈이라고 불리는 '화폐'는 매우 중요한 거래수단으로써 '보부상'들은 자금을 제공해주.. 밀리터리 2018. 2. 1.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이 고려판 '주사위는 던져졌다'인 이유 3가지 위화도 회군은 역사적으로 군사 쿠데타로 인한 고려의 말명으로 보고 있는 사건입니다. 또한 역사전문가들 역시 위화도 회군을 고려판 '주사위는 던져졌다'라고 비유하기도 하는데요. 위화도 회군이 고려판 '주사위는 던져졌다'라고 평가받는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신진사대부 세력의 등장 고려 우왕 시절에는 고려의 기존 무신정권 세력은 거희 없어졌다 시피 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삼별초의 난 이후로 무신정권보다는 최영, 이성계, 최민수 등의 무인들이 세력을 구축하고 있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원나라를 지지하는 친원파 세력은 원나라가 중국 대륙에서 원나라가 패배할 위기에 놓이자 세력이 점차 약화되면서 제거 되기 시작했는데요. 사대부들은 이성계를 지지하여 왕으로 내세우면서 무신정권 보다는 사대부를 중심으로 하는 .. 밀리터리 2018. 1.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