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2차세계대전40

2차세계대전 당시 일본이 미국이 아닌 소련을 쳤다면? 2차세계대전 당시 일본이 미국이 아닌 소련을 쳤다면 역사는 어떻게 바뀌었을까요? 2차세계대전 당시 일본이 미국이 아닌 소련을 쳤다면 어떻게 되었을지 재미로 추측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차세계대전 당시 일본은 미국의 진주만 공습을 통해 몰락의 길을 걸었습니다. 또한 미국에 의해 원폭을 2발이나 뚜들겨 맞고 무조건 항복을 선언하면서 패전국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일본이 미국이 아닌 만주에 있던 일본 극동군을 분산시켜 소련을 쳤다면 어떻게 되었을까요? 일본이 미국 진주만을 공습했을 당시 나치 독일은 소련과의 치열한 전투를 벌이고 있었습니다. 또한 소련 역시 나치 독일의 무서운 기세를 막아내지 못하고 소련의 수도 모스크바까지 밀린 상태였는데요. 만약 당시 일본이 나치 독일의 의도대로 소련의 후방을 쳤다면 소련은 붕.. 밀리터리 2017. 11. 5.
2차세계대전 종전 이후 미국 여론에 의해 군사력 감축을 하게 된 이유 미국은 2차세계대전에 참전하여 일본의 항복을 받고 승전국으로써 초강대국으로 성장했습니다. 하지만 미국은 2차세계대전 이후 미국 여론에 의해 군사력을 감축하게 되었다고 하는데요. 2차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군사력 감축 배경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미군은 2차세계대전 종전 이후 해외 주둔군 750만 명을 포함하여 대략 1,200만 명의 미군 병력을 보유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또한 미군은 2차세계대전 당시 242개의 항공단과 100척의 항공모함을 운용하고자 했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2차세계대전 당시 일본의 항복을 받은 미군은 일본 열도에 진주해 미군정(GHQ) 연합군 총사령부를 설립했고 미국인들의 환호 속에 전쟁은 끝이 났습니다. 이렇게 전쟁이 끝난 후 1947년 6월 무렵에는 미국 정부가 동원령 해제를 선.. 밀리터리 2017. 11. 2.
미국이 2차세계대전 당시 유럽 전선에 신경을 더 쓴 이유 2차세계대전 당시 미국은 전쟁 발발 이후 참전을 선포했으며 일제에 의한 '진주만 공습' 이후 일제에 선전포고를 하면서 전쟁에 참전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미국은 일본과의 전쟁지역인 태평양 전선보다 유럽에 더 많은 병력을 투입시켰다고 하는데요. 미국이 2차세계대전 당시 유럽 전선에 신경을 더 쓴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차세계대전 당시 미국은 유럽의 전쟁상황을 정보기관을 통해 수집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또한 당시 미국 대통령 루스벨트 대통령은 영국 전시총리인 윈스턴 처칠과 회동을 하는 등 상황을 인지하고 있었다고 하는데요. 미국이 2차세계대전에 참전했을 때 쯤에는 나치 독일이 소련을 불법침공했을 당시였고 소련 전역에서 자원입대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고 합니다. 때문에 미국은 당시 주력군.. 밀리터리 2017. 10. 29.
미국인이 가장 존경하는 업적 평가 1위 미국 대통령 미국은 역사가 짧은 국가지만 위대한 대통령이 많이 탄생한 국가입니다. 미국인이 가장 존경하는 업적 평가 1위 미국 대통령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미국인이 가장 존경하는 업적 평가 1위에 뽑힌 미국 대통령은 바로 '프랭클린 루즈벨트' 대통령입니다. '루즈벨트' 대통령은 미국에서 4선을 한 최초이자 마지막 대통령이며 20년 간 장기 집권한 대통령인데요. '루즈벨트' 대통령은 취임 이후 1차세계대전 이후 미국 내부에 심각한 영향을 끼친 '세계대공황'을 극복한 대통령입니다. 또한 '루즈벨트' 대통령은 정부 위주의 실업난 해소 정책인 '뉴딜정책'을 통해 세계대공황을 극복한 인물이기도 한데요. 실제로 미국 정부가 직접 나서서 실행한 '뉴딜정책'은 세계대공황을 극복한 정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대공황을 극복.. 밀리터리 2017. 10. 10.
일본이 2차세계대전 당시 미국에게 본토까지 밀린 이유 2차세계대전 당시 미국은 일본과의 전투에서 승리하면서 일본 본토까지 진격했습니다. 일본이 2차세계대전 당시 미국에게 일본 본토까지 밀린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태평양 전쟁 초기 사실 미국은 일본에게 밀리고 있는 상황이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미드웨이 해전에서 니미츠 제독의 탁월한 전술을 통해 전세를 역전시켰다고 할 수 있는데요. 당시 일본은 제대로 된 적과 싸워보지 못했기 때문에 미국을 가볍게 보았다고 합니다. 또한 미드웨이 해전 당시 일본 육군항공대 항공기 전력 대부분을 잃게 되는 손실을 당하게 되는데요. 미드웨이 해전 당시 일본은 무분별한 카미카제라는 항공기 자폭을 했기 때문에 항공기 전력 대부분을 손실한 것이라고 합니다. 또한 카미카제는 미 해군에게 큰 타격을 줄 수 없기 때문에 흑역사라고 평가.. 밀리터리 2017. 10.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