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밀리터리615

고구려가 수나라 30만 대군을 살수대첩으로 몰살시킬 수 있었던 이유 3가지 수나라는 고구려를 수 차례 공격한 이후 국력이 쇠퇴해지고 반란으로 멸망하게 되었습니다. 고구려를 공격했던 수나라 별동대 30만 5천명은 살수에서 무슨 이유로 전멸 당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별동대 보급문제 수나라의 고구려 원정 별동대의 병력은 30만 5,000명 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수나라를 출발하여 요동을 지나 평양으로 진격하는 전략을 사용했는데요. 수나라 별동대는 최초 출발시 100일만 버틸 수 있는 군량만 갖추고 행군을 시작했다고 합니다. 수나라 수군의 단독 행동 원래 수 양제는 110만 명의 대군이 육지와 수로를 통해 협공을 하려고 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수나라 수군은 별동대보다 평양성에 빨리 도착하였다고 하는데요. 계획한 것을 어기고 수나라 수군이 단독으로 평양성을 공격하게 되었.. 밀리터리 2018. 3. 9.
연개소문이 반정을 일으킨 이유 7가지 고구려 말기의 권력자였던 연개소문은 반정을 통해 고구려 말기의 권력을 잡고 고구려에 영향력을 행사하였는데요. 현대에 이르러 독재자라는 평가와 고구려의 영웅이었다는 평가가 존재합니다. 연개소문이 반정을 일으킨 이유 7가지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상속문제로 인한 귀족들과의 갈등 연개소문은 자신의 아버지 연태조의 뒤를 이어 동부대인으로 취임하려고 했습니다. 하지만 고구려 일부 귀족들은 연개소문의 동부대인 취임을 반대하였는데요. 연개소문은 가문을 유지하기 위해 귀족들과 갈등하면서도 굳건히 아버지 뒤를 이어 동부대인으로 취임하려고 했다고 하네요 당태종 이세민과의 대결 수나라, 당나라의 중국통일국가들은 고구려를 침공하였습니다. 수나라가 멸망하고 당나라가 건국하자 당나라는 주변국을 굴복시키면서 최강자로 떠올랐는데.. 밀리터리 2018. 3. 9.
한국사로 보는 한국 역사 속 5번의 군사정권 한국 역사속에서 군사정권이 존재하던 시기를 연도별로 소개해드릴까합니다. 물론 저의 지식이 많지 않아 기초적으로 한국인들이 알고 있는 사건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연개소문 (614년 ~ 666년) 고구려 말기의 권신으로 고구려 동부대인에 오르고 난 뒤 정변을 일으켜 고구려 영양왕과 반대파 귀족들을 제거하고 보장왕을 왕으로 추대하였습니다. 그리고 연개소문은 스스로 대막리지라는 관직에 올라 정권을 휘둘렀다고 하는데요. 물론 당시 당나라와 대립한 것으로 인해 영웅으로 재평가를 받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왕을 마음대로 추대하였는 것에 대한 것을 부정할 수 없는 일이라는 것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합니다. 고려 무신정권 (1170년 ~ 1270년) 고려 중기에 고려의 문신에 비해 차별대우를 받아 불만이 쌓여있던.. 밀리터리 2018. 3. 9.
중국 해군의 전력 증강이 정말 쓰잘데기 없는 이유 중국은 개혁개방 이후 쇼미더 머니를 시전하며 중국 해군 군사력을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은 대륙국가이기 때문에 딱히 해군력을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고 할 수 있는데요. 중국 해군의 전략 증강이 정말 쓰잘데기 없는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중국은 실제로 1980년 대 이전까지 연안해군이라고 불릴 정도로 약한 해군력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개혁개방으로 인해 중국의 경제가 엄청난 속도로 발전하자 해군력에 쇼미더 머니를 시전했다고 할 수 있는데요. 하지만 결국 중국 정부의 투자에도 불구하고 남중국해 및 아프리카 일대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는 것만 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만약 미국과 전쟁 발발 시 중국의 해군력은 사실 상 무력을 제대로 사용할 수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즉, 미국.. 밀리터리 2018. 3. 6.
1950년에 발발한 한국전쟁이 한민족에 끼친 영향 6가지 한국전쟁은 1950년에 한반도에서 발발한 전쟁으로 한민족의 대참사라고 할 수 있는 사건입니다. 한국전쟁이 한민족이 살고 있는 한반도에 끼친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산가족 발생 1953년 한국전쟁 휴전 이후 남,북이 갈라지면서 수 많은 이산가족이 발생했습니다. 또한 전쟁통에서 헤어졌지만 생사를 알 수 없어 남한에 살고 있지만 오랜기간 동안 만날 수 없었다고 하는데요. 현재는 미디어와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이산가족이 생길 수 있는 가능성은 없다고 볼 수 있는데요. 한국전쟁 휴전 이후에는 가족 생사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었기 때문에 이산가족이 굉장히 많았다고 합니다. 이념갈등 심화 한국전쟁 휴전 이후 대한민국은 현재까지 북한과 국경을 맞대고 대치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전쟁 휴전 이후에는 대한민국 .. 밀리터리 2018. 3.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