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밀리터리615 20세기 당시 일본이 동남아시아 국가들을 식민지화 시키려고 한 이유 일본은 20세기 동북아 일대와 동남아시아를 점령하면서 식민제국을 건설했습니다. 또한 일본은 동북아시아에서 전쟁을 일으켰음에도 불구하고 동남아 국가들 역시 식민지화시키려고 했는데요. 20세기 당시 일본이 동남아시아 국가들을 식민지화 시키려고 한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본은 동아시아에서 최초로 근대화에 성공하면서 한반도를 침략하여 한반도를 식민지배했습니다. 하지만 일본은 세계 열강들의 식민지 확대에 의해 전쟁을 일으켜 식민지를 확대시켜나갔는데요. 일본은 중국과의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일본과 한반도에서 나오는 물자로 전쟁에 들어가는 물자를 조달할 수 없는 상황까지 갔다고 합니다. 이러한 물자 부족에 의해 일본은 일본과 가까운 동남아시아로 눈을 돌리게 되었고 일본은 1939년부터 동남아 국가들을 무력으로 .. 밀리터리 2018. 3. 6. 더보기 ›› 광해군이 폐위당한 인조반정이 일어난 이유 5가지 한국 역사에서 쿠데타로 인해 왕권을 차지한 것에 대해 반란이라고 규정하지 않고 반정이라고 규정한다고 합니다. 반정이라는 뜻은 반란을 통해 나라를 안정시켰다는 뜻이라고 하는데요. 성군이었지만 폭군으로 평가받는 광해군이 쫓겨난 인조반정이 왜 일어났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광해군의 친 청나라 정책 광해군은 조선의 국왕으로 취임한 후 명나라를 멸망 시킨 청나라와 교류를 통해 친 청나라 정책을 펼쳤습니다. 하지만 조선의 관료들은 이러한 광해군의 정책을 비판하였는데요. 이유는 우리를 도와준 명나라를 배신한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합니다. 사대부간의 세력 싸움 조선시대 양반들은 서인과 남인으로 나뉘었다고 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서애 류성룡 등도 서인, 남인과 같은 파벌에 속한 인물들이었는데요. 광해군은 서인.. 밀리터리 2018. 3. 5. 더보기 ›› 우리가 잘 모르는 위화도 회군의 비하인드 4가지 위화도 회군은 조선을 세운 태조 이성계가 현재의 압록강 주변의 섬인 위화도에서 회군을 하면서 한민족의 역사를 바꾼 사건입니다. 우리가 잘 모르는 위화도 회군의 숨겨진 비밀 4가지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이성계가 요동정벌을 반대한 이유 위화도 회군 당시 고려군은 2차 요동정벌을 출전한 상황이었다고 합니다. 대체적으로 요동정벌에서 회군하여 개경을 공격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2차 요동정벌은 우왕의 장인이었던 최영 장군이 최영 중심의 정권을 유지하기 위해 추진했던 것이라고 합니다. 이성계는 위화도에서 회군하지 않으면 본인이 숙청 당할 위기였다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습니다. 구한말까지 욕먹은 왕 이성계는 조선 건국 이후 개성의 왕씨를 몰살시킨 것 부분 때문에 이성계는 구한말까지 성계탕, 성계육 하며 대놓.. 밀리터리 2018. 3. 5. 더보기 ›› 한반도가 통일되면 전 세계에 줄 수 있는 인식 6가지 통일 한반도가 세계인들에게 줄 수 있는 국제적 인식은 다양하다고 합니다. 우리가 만약 통일을 진행한다면 국제적으로 위상을 올릴 수 있는 국제적 인식 6가지에 대해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동아시아 평화 유지 현재 동북아시아는 중국과 일본이라는 국가가 위치해 있는 아주 중요한 지역입니다. 하지만 한반도가 통일이 되면 동북아시아의 평화를 유지하는 중립적 역활을 할 수 있는 기대감인데요. 한반도가 통일이 된다면 동아시아의 일반 국민들은 전쟁의 위협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을 것이라는 예상입니다. 직접적인 중국 군사력 견제 가능 한반도 북쪽에는 바로 중국 대륙 중에서도 인민해방군의 핵심부대 동북야전군이 주둔하고 있는데요. 통일 한반도 정부가 수립이 되면 한반도의 국경은 바로 압록강 일대가 될 것입니다. 현재 중국이 한.. 밀리터리 2018. 3. 5. 더보기 ›› 북한 소식을 알리는 언론이 말하는 북한의 외화벌이 사업 5가지 대체적으로 북한의 소식통이라고 할 수 있는 언론은 데일리NK와 자유북한방송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북소식통이라고 불리는 언론들은 북한이 대북제재에도 외화벌이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는 목록들을 소개하기도 했는데요. 북한 소식통들이 공개한 대북제재에 영향을 받지 않는 북한의 해외벌이 사업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짝퉁시장 최근 북한은 짝퉁을 제조하여 중동의 두바이와 같은 부유한 국가들에 짝퉁을 수출하고 있다고 합니다. 북한이 해외벌이 중에서도 짝퉁을 선택한 이유는 비공식 루트를 통해 수출되기 때문에 외화벌이를 하기 아주 좋은 사업이라는 장점을 노린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고 합니다. 관광사업 또한 북한 김정은은 30만 명 규모의 북한 관광객들을 100만 명까지 유치하라는 지시를 직접 내린 것으로 언론 보도로 .. 밀리터리 2018. 3. 4.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