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밀리터리615

동아시아의 절대강자 중국이 갑자기 동네북이 된 이유 중국은 개혁개방 이후 엄청난 경제성장을 통해 경제대국으로 성장했고 경제성장을 바탕으로 미국 다음으로 많은 국방비를 투자하여 세계 3위의 군사강국으로 거듭났습니다. 그런데 중국이 최근 국제사회의 눈치를 보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고 있는데요. 동아시아의 절대강자 중국이 갑자기 동네북이 된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중국이라는 국가가 개혁개방을 했을 당시 중국 내부 경제 성장을 주도한 것은 중국 기업들이 아닌 외국계 기업들이었습니다. 때문에 중국 내부에는 한국에 진출하지 않는 외국계 기업들을 볼 수 있는데요. 최근 중국과 인도의 국경분쟁으로 인해 인도군과 중국군이 국경을 맞대고 대치하는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이러한 군사 대치는 중국에게 엄청난 불이익을 안겨주었다고 할 수 있는데요. 중국군과 인도군이 군사대치를.. 밀리터리 2018. 3. 4.
임진왜란 당시 조선 관군이 사용했던 강력한 무기 5가지 임진왜란 당시 조선 수군의 주력 무기는 화포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다면 임진왜란 당시 조선 관군이 어떠한 신무기를 사용했는지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화포(총통) 임진왜란 당시 조선측에는 천, 지, 현, 황으로 4가지 화포가 있었다고 합니다. 당시 조선측이 사용하던 화포마다 사거리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보병들은 수성전을 포함한 공성전에도 화포를 적절하게 사용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조선의 총통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한 것은 이순신 장군의 조선 수군이라고 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귀선 현대 한국인들에게 대체적으로 알려진 명칭으로는 거북선이라는 귀선입니다. 거북선은 단단한 소나무로 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며 지붕에는 놋쇠를 꽃아 왜군이 백병전을 하지 못하도록 설계되었다고 합니다... 밀리터리 2018. 3. 1.
한국 공군의 주력 전투기 F-15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 6가지 F-15 전투기는 대한민국 공군에서 주력 전투기로 사용하는 전투기입니다. F-15 전투기의 우수성을 보여주었던 대표적인 사례들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이스라엘 vs 시리아 분쟁 1979년 이스라엘 공군 소속의 F-15A가 시리아 소속 전투기를 격추시키면서 격추기록을 세웠다고 합니다. 1979년부터 1981년 동안 이스라엘 공군의 F-15 전투기는 시리아 공군 전투기를 격추시켰다고 하는데요. F-15 전투기가 격추시킨 시리아 공군의 전투기는 대부분이 MiG-21이었다고 하며 그 중에는 MiG-25 2대도 포함되어 있었다고 합니다. 오페라 작전 미 공군이 이라크의 오시라크 원자력 발전소를 폭격한 작전을 오페라 작전이라고 한다고 합니다. 당시 작전에 투입되었던 F-15 전투기는 폭격임무를 맡았던 F-16 .. 밀리터리 2018. 3. 1.
미 국방부가 실행한 가장 오래된 작전 공수작전 크리스마스 공수작전은 미합중국 공군이 1952년부터 시행해온 훈련 작전으로 미국 국방부의 작전 중에서도 제일 오래 지속된 작전입니다. 크리스마스 공수 작전은 미국 괌 지역 커뮤니티에서 지원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안데르센 공군기지와 요코타 공군기지에서 작전을 시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크리스마스 공수 작전은 1952년 당시 미국 괌에 있는 안데르센 공군기지의 54 기상 정찰대의 WB-29 승무원들이 미크로네시아의 카핑가마랑기 환초위를 비행 할 무렵이었습니다. 당시 승무원들이 환초에 사는 사람들에게 손을 흔들며 재빨리 비행기에 있던 물품들을 모아 낙하산이 달린 컨테이너에 담아 그들이 모여있는곳에 떨구곤 했다고 하는데요. 미크로네시아의 아그리한 섬의 첫 공수작전을 지켜본 이들은 "이 물건들이 비행기 뒤에서 .. 밀리터리 2018. 3. 1.
한국군 vs 중국군 유력한 충돌 시나리오 4가지 한국군이 중국군과 교전을 하게 된 실제사례는 1950년 한반도에서 일어난 한국전쟁이라고 합니다. 한국전쟁 당시에 국군은 미군, UN군의 지원하에 압록강 중국 국경까지 진군하면서 남북통일을 거둘 수 있었는데요. 하지만 중국의 중국인민지원군이 압록강을 도강하여 북한으로 남하하게 되면서 한국전쟁의 판세가 뒤집어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국전쟁 이후로 한국군과 중국군이 서로 교전한 사례는 거의 없지만 인터넷 상에서 이에 대한 분석과 추측을 하는 내용들이 올라오게 되었다고 합니다. 한반도 유사시 북한을 지원하는 입장으로 인한 충돌 가장 유력한 한국군 vs 중국군의 충돌 시나리오이며 현실적으로 군사전문가들도 주장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고 합니다. 한국전쟁 당시 중국은 북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면서 현재 한반도 고착화.. 밀리터리 2018. 2.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