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국전쟁50

역사전문가들이 본 한민족 역사 상 가장 굴욕적인 4대 참패 한국의 일부 네티즌들은 한국 전쟁 역사상 가장 굴욕적인 전투 4가지를 4대 참패로 평가하고 있는데요. 한국 역사속에서 황당하게 패배당한 한국의 전쟁사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칠천량 해전 임진왜란에 일어난 굴욕적인 사건으로 지휘관이 무능하면 최정예도 몰살 당할 수 있다는 것은 잘 보여주는 해전입니다. 칠천량 해전으로 이순신 장군과 동거동락했던 무적의 조선함대가 전투기능을 상실하게 된 사건으로 일부 네티즌들은 한국 역사상 가장 황당한 패배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용인 전투 1592년 6월 5일부터 6일까지 있었던 전투로 임진왜란 초기에 일어난 전투입니다. 용인 전투에서 왜군 지휘관은 와키자카 야스하루로 알려져 있는데요. 와키자카 야스하루는 1,600명의 군사로 7만에서 8만명 가량의 조선군을 후퇴시킨 전투라.. 밀리터리 2018. 1. 12.
소련 붕괴 후 공개 된 기밀문서로 알려진 한국전쟁이 일어난 진짜 이유 한국전쟁은 1950년 6월 25일 북한군의 불법남침으로 인해 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비극이자 참극입니다. 소련 기밀문서로 알려진 한국전쟁이 일어난 진짜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소련 붕괴 이후 2010년 대까지 밝혀진 소련 기밀문서에 의하면 한반도 해방 이후 김일성과 남로당(남조선노동당)의 박헌영이 계획한 전쟁이라는 것이 정설입니다. 또한 한국전쟁을 계획한 김일성과 박헌영은 자신들의 정치적 입지를 다지기 위해 전쟁을 계획한 것으로 들어났는데요. 실제 소련 붕괴 이전까지만 해도 북한은 소련의 배후 조종설을 주장하며 불법남침이 아니라는 것을 주장했지만 소련 붕괴 이후 소련의 배후 조종설은 설득력을 잃어버렸는데요. 또한 소련 붕괴 이후 공개 된 기밀문서에는 한국전쟁 직전 김일성은 스탈린을 48번이나 찾.. 밀리터리 2018. 1. 11.
우리가 한국전쟁을 중국이 일으킨 전쟁으로 봐야하는 이유 한국전쟁은 1950년 6월 25일 발발한 전쟁으로 한민족 역사 상 가장 비극적인 역사입니다. 하지만 한국전쟁을 중국이 일으킨 전쟁이라고 봐야한다는 주장이 존재한다고 하는데요. 한국전쟁을 중국이 일으킨 전쟁으로 봐야하는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 발발 후 기습남침을 감행한 북한군 대부분은 중국 제2차 국공내전에 참전한 조선인들이었다고 합니다. 또한 한국전쟁 발발 직전 중국은 북한의 전쟁준비 요청에 의해 병력을 지원해주는 등 많은 도움을 주었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실제 한국전쟁 당시 북한군은 대부분 전투경험이 풍부한 병사들이었다고 합니다. 또한 중국은 중국 대륙에 중국 공산당 중앙정부 수립 이후 북한 단독정부 수립을 도와주기도 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전쟁 발발 이후 연합.. 밀리터리 2018. 1. 4.
한반도에서 벌어진 한국전쟁이 인류 역사에 부여하는 의미 5가지 한국전쟁은 한국 역사에서 대참사로 기억하고 있는 전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한국 역사를 떠나 인류 역사에서 한국전쟁이 부여하는 의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국과 중국이 맞붙은 전쟁 한국전쟁 당시 장진호 전투는 중국군과 미군이 직접적으로 맞붙은 전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장진호 전투가 벌어진 지역은 지역 특성상 매우 추운 지역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동장군이 최종적으로 승리한 전투라고 볼 수 있는데요. 특히 장진호 전투는 인류 역사상 가장 치열했던 3대 동계 전투에 속하는 전투라고 합니다. 국제연합이 피해국으로 참전한 전쟁 북한 인민군이 남한에 불법 남침을 감행하자 유엔 안보리에서는 한국에 대한 파병안이 통과되었습니다. 결국 국제연합군은 인천을 통해 상륙하여 한국전쟁에 참전했는데요. 중립적 입장을 지키.. 밀리터리 2017. 12. 30.
중공군 3개사단을 박살낸 국군 6사단의 용문산전투 용문산 전투는 6.25 한국전쟁 당시 1951년 용문산과 화천 저수지 일대에서 한국군 제6보병사단이 중공군 3개 사단(63군 187사단, 188사단, 189사단)을 상대로 대승을 거둔 전투를 말한다 용문산 전투 이전 상황 한국전쟁에서 수십만의 중공군이 참여하자 한국군과 UN군은 밀려서 후퇴하기 시작하였고 중공군은 국군이 후퇴하는 것을 뒤쫓아 강력한 공격을 하게 되는데 중부전선에서 중공군의 공격을 직면하게 된 부대가 당시 장도영이 사단장으로 지휘하던 한국군 6사단이었으며 한국군 6사단은 개전 초기에 춘천-홍천 전투에서 북한군을 저지한 공을 인정받아 유명세를 떨친 사단이었으나 불과 한달 전에 중공군의 4월 공세에 사단 전체가 줄행랑을 치면서 패전했고 결국 미군 수뇌부부터 병사들까지 비웃음을 당하는 존재로 전.. 밀리터리 2017. 12.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