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국전쟁50

한국전쟁 발발 후 국군이 한강에서 7일을 버틸 수 있었던 이유 1950년 6월 25일 새벽 북한 김일성은 북한군을 동원하여 남한을 적화시킬 목적으로 불법침공했습니다. 또한 소련으로부터 지원받은 소련제 탱크를 앞세워 남한으로 밀고 내려왔는데요. 특히 북한군 일부는 중국 국공내전을 경험했던 베테랑 병사들이었고 중국 기밀문서에도 한국전쟁에 참여한 북한군 일부는 조선족이라는 기록이 존재하고 있다고 합니다. 즉, 북한은 소련으로부터 무기를 지원받았으며 중국으로부터 병력을 지원받은 셈인데요. 이러한 철저한 전쟁 준비를 한 북한군이 내려오자 국군은 북한군에게 상대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후퇴를 감행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결국 서울이 함락당할 위기에 처하자 국군 수뇌부는 한강 다리를 폭파시켜 북한의 진격을 지연시킬 목적이었고 결국 폭파시켰는데요. 하지만 전쟁 발발 이후 .. 밀리터리 2017. 12. 17.
2차 한국전쟁 발발 시 최선봉에 서서 북진 할 부대 8개 만약 2차 한국전쟁이 발발한다면 국군 및 한미연합군에서 가장 먼저 휴전선을 돌파하여 평양을 함락시킬 부대들을 예측해보았는데요. 2차 한국전쟁 발발 시 최선봉에 서서 북진할 부대 8개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결전부대 - 제20기계화보병사단 경기도 양평에 주둔하고 있는 제20기계화보병사단입니다. 제20기계화보병사단은 대한민국 국군이 보유하고 있는 기계화보병사단 중 가장 전투력이 막강한 부대로 잘 알려져 있는데요. 특히 훈련이 빡센 것으로 유명하여 국군 최정예부대로 평가받고 있는 부대입니다. 만약 한국전쟁이 발발한다면 질적으로 우수한 기계화 장비들을 앞세워 빠른 속도로 평양을 함락시키지 않을까 합니다. 맹호부대 - 수도기계화보병사단 1950년 한국전쟁과 더불어 베트남 전쟁에서도 활약하며 막강한 부대로 인정.. 밀리터리 2017. 12. 15.
한국전쟁 당시 만약 미국이 중국에 핵을 투하했다면? 한국전쟁 당시 미국 트루먼 행정부는 맥아더 장군의 중국 본토에 핵 핵투라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만약 한국전쟁 당시 미국 트루먼 행정부가 중국 만주에 핵 투하를 승인했다면 어땠을까요? 국제연합군이 인천상륙작전에 성공 한 이후 국군과 유엔군은 북진하여 통일을 앞두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중공군이 참전하면서 국군과 유엔군은 3.8도선으로 후퇴하고 엄청난 피난민들이 남한행을 결정했습니다. 그리고 연합군 총사령관 맥아더 장군은 당시 트루먼 대통령에게 30기의 원조폭탄을 중국 만주에 투하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실제로는 맥아더 장군의 핵 투하 요구가 거절 당했지만 만약 맥아더 장군의 요구가 받아들여 원폭 투하 승인이 떨어졌다면 21세기는 많은 변화가 있었을 것입니다. 만약 중국 만주에 30기의 원폭이 .. 밀리터리 2017. 12. 11.
한국전쟁 당시 연합군 사령관 '맥아더'가 한 가장 큰 실수 한국전쟁 당시 한국을 살린 당시 국제연합군 총사령관을 지낸 '더글라스 맥아더' 장군은 한국인들에게 존경받는 장군입니다. 그런데 한국전쟁 당시 연합군 사령관이었던 '맥아더'가 한 가장 큰 실수가 있다고 하는데요. 한국전쟁 당시 연합군 사령관 '맥아더'가 한 가장 큰 실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더글라스 맥아더'는 '인천상륙작전'을 통해 연합군의 참전을 성공적으로 이루어냈고 '인천상륙' 이후 연합군은 서울을 수복하고 북진을 감행했습니다. 하지만 '맥아더 장군'의 북진 결정은 한반도를 분단되게 만든 큰 실수였습니다. '맥아더 장군'의 북진결정 당시 중국 총리였던 '저우언라이'는 서울 수복 이후 연합군과 한국군이 북진하자 미국에 여러번 경고를 했다고 하는데요. 중국측은 "이 전쟁은 내전이므로 남조선군이.. 밀리터리 2017. 11. 29.
한반도에서 일어난 한국전쟁을 '3년 전쟁'이라고 부르는 이유 한국전쟁은 1950년 6월 25일에 발발해서 1953년 7월 27일에 휴전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한반도에서 일어난 한국전쟁을 '3년전쟁'이라고 부르는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950년 6월 25일 새벽 북한군은 대규모 병력과 소련제 탱크를 동원하여 남한에 불법적으로 침략했습니다. 또한 북한군은 전쟁 초기 서울을 순식 간에 점령한 후 남하하여 부산 인근까지 밀고 내려갔는데요. 하지만 국제연합 안보리에서는 북한의 침략을 불법으로 규정하고 남한에 대한 지원안이 통과되면서 국제연합군 남한측에 병력을 파병했습니다. 그리고 연합군과 미군은 인천상륙작전을 성공리에 마친 후 서울을 수복한 후 반격의 기틀을 마련하게 되는데요. 반격의 기틀을 마련한 연합군과 국군은 평양을 함락시킨 후 압록강 인근까지 .. 밀리터리 2017. 11.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