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밀리터리615 주한미군이 본국인 미국으로 철수하지 못하는 이유 주한미군은 한국전쟁 휴전 이후 한국과 미국이 체결한 한미상호방위조약에 의거하여 한반도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입니다. 하지만 최근 미국 백악관 안보수석이 주한미군을 철수하는 조건으로 북핵을 폐기해야한다는 주장을 하면서 논란이 되고 있는데요. 주한미군이 한국에서 철수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시다시피 미 태평양사령부는 미군 전력 70%가 배치되어 있을 정도로 전 세계에 배치 된 미국 사령부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조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은 일본 오키나와 일대에 미군 기지를 건설하여 언제든지 동북아 전시상황을 방지하고자 하고 있는데요. 미국은 냉전을 거치면서 동북아 일대에 있는 중국과 러시아를 지속적으로 견제해왔고 미국의 전략적 동맹국인 한국과 일본과 지속적인 군사적 교류를 하고 있.. 밀리터리 2018. 2. 16. 더보기 ›› 한국전쟁에 참전한 중공군 총사령관 '펑더화이'를 미국이 높게 평가하는 이유 펑더화이는 중국 공산당 창설 멤버로 중국 공산당 초창기 유능한 군사전략가이자 지휘관으로 평가받는 인물입니다. 그런데 한국전쟁 당시 중공군의 총사령관의 자격으로 한국전쟁 참전한 '펑더화이'를 미국은 높게 평가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한국전쟁 당시 중공군 총사령관 '펑더화이'를 미국이 높게 평가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펑더화이'는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명령 하에 '중국 인민지원군' 총사령관 자격으로 한국전쟁에 참전하게 됩니다. 또한 '펑더화이'는 중국 공산당 창립 멤버로써 제2차 국공내전 당시 국민당군에게 두려움을 안겨주었던 인물이었다고도 하는데요. 실제 중국 공산당 창립 멤버 중 유명한 군사지휘관으로 평가받는 인물은 주더, 펑더화이 2명 뿐이라고 합니다. 또한 한국전쟁.. 밀리터리 2018. 2. 16. 더보기 ››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업적은 언제부터 한국인들에게 알려지게 되었을까? 광개토대왕은 고구려 19대 국왕으로 세종대왕과 더불어 한국사에서 유일하게 '대왕'이라는 칭호를 붙여 부르는 군주입니다. 또한 광개토대왕은 한민족 역사 상 가장 넓은 영토를 정복했으며 이로 인해 한민족 역사 상 최고의 정복군주로 꼽히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업적은 언제부터 한국인들에게 알려지게 되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광개토대왕이 국왕에 즉위한 후 남쪽에 있는 백제와 신라의 조공을 받았으며 위로는 거란족과 말갈족을 복속시켜 거대한 대제국을 건설했습니다. 또한 고구려 광개토대왕은 북경 인근까지 고구려 깃발을 세우며 고대 동아시아의 최강국으로 위엄을 떨쳤는데요. 하지만 시간이 흘러 신라와 당나라의 협공으로 고구려는 멸망했고 고구려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됩니다. 고구려 멸망 후에는.. 밀리터리 2018. 2. 15. 더보기 ›› 동아시아 국가들의 결전병기라고 불리는 대표 해상전함에 대해 알아보자 동아시아는 한국, 일본, 중국이라는 국가들이 존재하는 곳으로 한국, 일본, 중국 3개 국은 세계적으로도 군사강국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해군이라는 조직은 현대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무장집단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동아시아 국가들의 결전병기라고 불리는 대표 해상전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세종대왕급 구축함 세종대왕급 구축함은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고 있는 이지스함으로 강력한 화력을 자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세종대왕급 구축함의 배수량은 11,000톤으로 VLS(수직미사일발사시스템)을 128셀이나 탑재하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세종대왕급 구축함은 일본 전 영토와 중국 일부 영토를 타격할 수 있는 현무3-순항미사일 발사가 가능함으로써 일본과 중국에게 두려움을 주는 전력이라고 평가받고 있습니.. 밀리터리 2018. 2. 15. 더보기 ›› 한국과 중국이 수교하기 전에 한국은 중국을 어떻게 불렀을까? 한국과 중국은 동아시아의 이웃국가로 수교를 통해 양 국의 이익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은 사회주의권 국가의 리더로써 어찌보면 대한민국의 적이기도 한데요. 한국과 중국이 수교하기 전에 한국은 중국을 어떻게 불렀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중국은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 발발 이후 같은 해 9월 15일 국제연합군이 인천에 상륙하자 북한에 대규모 병력을 파병했습니다. 파병 이후 중국이 파병한 중국군은 미군과 더불어 국군에게 대규모 공세를 펼치면서 남쪽으로 후퇴시키기 시작했는데요. 한국전쟁 휴전 이후 한국인들은 대륙에 있는 중국을 '중공'이라 불렀고 '중공'이라는 줄임말은 '중국 공산당'의 줄임말이라고 합니다. 또한 한국인들은 타이완 섬에 있는 '중화민국'을 중국의 정통성을 계승한 국가로 인정하여.. 밀리터리 2018. 2. 15.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