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밀리터리615

일본 열도를 통일했던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선을 침공한 이유 5가지 1592년 일본 열도를 평정한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정명가도를 통해 명나라를 정벌한다며 조선에 서신을 보냈습니다. 조선이 정명가도를 거부하자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조선을 침공하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발발한 전쟁이 바로 임진왜란인데요.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선을 침공한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욕망 현재도 마찬가지지만 한반도는 동아시아에서 아주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입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경우 명나라를 정벌하거나 정벌전쟁을 하기 위해서는 한반도를 차지해야만 했다는 것인데요. 일본의 역사전문가들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선에 대한 정복전쟁을 진행한 부분에 있어서 일본 열도가 섬나라라는 단점의 특수성을 지적하고 있다고 합니다. 조선의 국방 상황 임진왜란 발발 직전에는 조선은 약 100년 .. 밀리터리 2018. 2. 11.
임진왜란에 대한 우리가 잘 모르는 숨겨진 이야기 6가지 임진왜란은 한국 역사에서도 많이 중요한 역사인데요. 역사에는 기록이 되어 있으나 현대 한국인들이 잘 모르는 내용에 대해 소개해드릴까합니다. 누르하치의 구원병 제안 류성룡이 기록한 역사 기록서에 의하면 임진왜란 말기에 청 태조 누르하치가 조선에 구원병 파견을 하겠다고 제안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조선 조정은 명나라와의 관계를 생각하여 이를 거절했다고 하는데요. 이 부분은 현대 한국인들이 잘 모르는 이야기 중 하나입니다. 광해군의 오해와 진실 광해군은 인조반정으로 인해 왕자리에서 쫓겨난 비운의 군주입니다. 하지만 광해군은 임진왜란 당시 선졸르 대신하여 조선의 통수권자로 활동했는데요. 현대에 들어 광해군이 성군이다 폭군이다라는 평가가 있다고 합니다. 임진왜란 당시를 생각해보면 광해군의 역사적 의견차이가 있는 것.. 밀리터리 2018. 2. 11.
전 세계 군사전문가들이 '명량해전'을 세계 4대 해전으로 인정하지 않는 이유 명량해전은 12척의 판옥선으로 일본 수군의 대규모 선박을 막아 '정유재란'의 판도를 바꾼 해전입니다. 그런데 '명량해전'이 전 세계 군사전문가들에게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전 세계 군사전문가들이 '명량해전'이라는 전설급 해전을 인정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명량해전'은 국내 역사전문가들의 발표에 의하면 '울둘목' 이라는 지형을 좁은 지형을 이용하여 전술을 펼쳐 이겼다고 합니다. 또한 울둘목은 좁고 바다 지형이 험하기 때문에 대규모 선박이 통과 할 경우 굉장히 시간이 오래 걸린다고 하는데요. 이 부분은 이론적으로 명량해전에서 조선 수군이 승리 할 수 있었던 근거라고 할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한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 일본의 '태합기'에도 명량해전에 대한 .. 밀리터리 2018. 2. 11.
북한 '김정은'과 '김여정'에게 영어를 가르쳐주는 영어강사의 실체 북한의 김정은은 어렸을 적 스위스에서 유학을 했다는 사실은 언론 보도를 통해 대체적으로 알려져 있는 내용입니다. 하지만 스위스 유학까지 한 김정은의 미국인 영어강사가 공개 되면서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김정은의 미국인 영어강사는 북한에 납치되었던 미국 대학생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2004년 8월 당시 중국에 여행을 갔던 데이비드 스네든이라는 이라고 합니다. 데이비드 스네든의 실종사건 당시 미국과 중국 경찰들은 단순 실종 사건인 줄 알았다고 하는데요. 당시 중국 보안당국은 데이비드 스네든은 후타오샤라는 협곡에서 떨어져 죽었을 것이라고 추측성 발표를 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12년이 지난 현재 데이비드 스네든이 북한에 납치되어 김정은의 개인 영어강사로 활동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고 합니다. 이 사실을 발표.. 밀리터리 2018. 2. 10.
베트남 전쟁을 취재한 해외 언론들의 한국군에 대한 평가 베트남 전쟁은 한국에서는 월남전이라고 하며 세계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명칭은 베트남 전쟁이라고 사용한다고 합니다. 영국과 청나라의 전쟁이었던 아편전쟁, 소련과 아프가니스탄 전쟁, 이라크 전쟁과 더불어서 목적과 명분이 없는 전쟁이라고 볼 수 있다고 하는데요. 초강대국이라고 불리고 있는 미군 역사상 최초로 패배한 첫번째 전쟁이라고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자유 월남의 자유로운 미래를 위한 한국이 이룩해 온 크나 큰 공헌이 17년 전 미국이 한국에 심었던 신뢰와 도움이 헛되지 않았다는 확실한 증명이 되고 있다. - 리처드 닉슨(Richerd Nickson), 1967년 12월 17일 - 노획한 베트콩 문서에 의하면 베트콩은 100% 승리의 확신이 없는 한, 한국군과의 교전을 무조건 피하도록 지시가 되어있다. .. 밀리터리 2018. 2. 10.
반응형